정부의 MVNO(가상이동통신망사업자) 도입을 위한 시행령,
고시안 제정작업이 급물살을 타면서 케이블TV 및 중견 통신업체들의 MVNO 준비작업도 본격화하고 있다.
8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방통위가 SK텔레콤을 MVNO 의무제공사업자로 선정하는 등 전기통신사업법 시행령 및
고시안 제정작업을 구체화하면서 MVNO 예비사업자들의 움직임도 빨라지고 있다.
특히 MVNO 사업추진과 관련해 부정적인 기류가 컸던 케이블TV 대표 기업들은 시행령의 주요 내용을 자체 평가한 결과,
사업성이 있다고 판단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이에 따라, 케이블TV 업계를 비롯해 중견 통신사, 유통업계 등 예비 MVNO 사업자들의 MVNO 준비작업이 속도를 낼 전망이다.
MVNO 예비사업자들은 방통위의 MVNO 활성화정책에 큰 기대감을 나타내고 있다.
방통위가 도매대가 가이드라인 제정과정에서도 MVNO 사업자들의 의견을 적극 수용해줄 것으로 기대하는 한편,
망 임대시 MVNO 사업자들의 의무조건인 개인정보보호 전담기구 설치, 고객 응대 시스템 구축 등도 충분히 수용하겠다는
입장이다.
한국케이블텔레콤 관계자는 "MVNO의 최종적인 사업성 평가는 9월 도매대가 규제 가이드라인이 제시돼 봐야 알겠지만,
정부차원의 의지는 확고해 보인다"면서 "MVNO 정책적 의지가 확고한 만큼, 내부적으로 충분히 사업성이 있다는 판단"이라고
강조했다.
케이블TV 업계는 최근 MVNO 타당성 조사를 통해 충분히 사업성이 있다는 쪽으로 결론을 내린 상태다.
케이블TV 업체 한 관계자는 "MVNO 사업성이 크다는 쪽으로 잠정적인 결과를 도출한 상태"라면서 이를 조만간 공개할 방침이다. 복수종합유선방송사업자(MSO)의 경우, 이미 전국적으로 유통망을 확보하고 있는 만큼, 이를 활용할 경우 승산이 높다는 것이다.
중견 통신사업자인 온세텔레콤측도 MVNO 사업추진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이미 지난해 MVNO 사업단을 자체 구성한데 이어, 최근 관련법 통과와 시행령 제정작업을 계기로 금융권 등을
중심으로 사전 정지작업이 한창이다.
온세텔레콤측은 "최종 판단은 도매대가 가이드라인에 따라 좌우되겠지만,
현재의 정책기조대로라면 충분히 해볼만하다"면서 "기업용 시장에서 승부를 볼 계획"이라고 밝혔다.
단말기 수급 등 위험부담이 큰 소매사업보다는 현재 주력사업인 기업용 시장으로 차별화 하겠다는 구상이다.
이처럼 MVNO 예비 사업자들의 기대감이 고조되면서, 향후 정부의 MVNO 도매대가 가이드라인 제정작업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정부가 도매대가 가이드라인을 어느 수준에 맞추느냐에 따라, MVNO 사업자의 최종적인 사업성이 판가름나기 때문이다. MVNO 예비사업자들은 최소한 현재 이동통신 소매요금의 50∼70% 수준은 돼야 한다는 입장인 반면, 이동통신사들은 최대 30∼50% 수준 이상은 책정하기 힘들다는 반응이다.
'무한경쟁 > 케이블TV' 카테고리의 다른 글
케이블진영에서 본 MVNO (0) | 2010.06.17 |
---|---|
MVNO 해외 성공 사례 (0) | 2010.06.17 |
MVNO 일정 (0) | 2010.06.17 |
SKT, 도매제공 의무사업자 선정 (0) | 2010.06.17 |
mvno 개념도 (0) | 2010.06.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