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한경쟁/인터넷이야기

인터넷 방송 용어

영원한 울트라 2011. 3. 13. 19:27

인터넷 방송(internet Broadcasting)

인터넷으로 방송을 하는 것으로 인터넷 망이나 웹을 통해 Multimedia 컴퓨터 이용자가 오디오 또는 비디오를 비롯한 다양한 형태의 정보를 자신이 원하는 대로 듣거나 볼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입니다.

푸시기술(Push Technology)

뉴스속보와 유사한 형식의 서비스를 가능하게 해준다. 그때그때 신속히 알릴 정보를 내보내는데 적절하며, 일반적으로는 광고와 뉴스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스트리밍기술(Streaming Technology)

실시간으로 동영상이나 오디오를 보고듣게 하는데 필수적인 기술이다. 과거에는 음악이나 비디오 파일은 보기 위해서 엄청나게 큰 사이즈의 파일을 다운로드 받아야만 했다. 그러나 이제는 단순히 클릭만하면 불과 1~2초 뒤에 곧장 동영상이 움직인다. 스트리밍 기술은 파일을 다운로드 받으면서 동시에 재생해줌으로서 실시간 효과를 극대화 해준다. 이러한 기술 덕분에 생방송도 가능해 졌다.

NTSC(National Television System Committee) 

NTSC는 National Television System Committee의 약자로서 1953년 12월에 제정되어 일련의 TV 방송 송, 수신용 표준 프로토콜을 개발하기 위해 설립된 미국의 기관입니다. 미국 연방 통신위원회(FCC)는 당초 3원색을 차례로 보내는 CBS방식을 채택했으나 그후 흑백 TV에서도 사용가능한 NTSC 방식을 채택했습니다.

NTSC 표준은 컬러 신호를 위해 새로운 매개변수를 추가한 것 외에는 예전의 방식에 비해 크게 변화하지 않았습니다. NTSC 신호들은 컴퓨터 시스템과는 직접 호환성이 없기 때문에 이런 신호들을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디지털 비디오로 변환하는 아답타들이 있습니다.  -이와는 반대로 TV 수신기가 컴퓨터 디스플레이의 대용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디지털 비디오를 NTSC 신호로 변환할 수 있는 장치도 있습니다. - 전통적인 TV 수신기가 컴퓨터 모니터에 비해 해상도가 낮기 때문에 TV 화면이 매우 크더라도 그것이 모든 컴퓨터 응용 분야에 완벽하게 호환되지는 않습니다. 최근 들어서는 HDTV라고 알려진 고화질 TV가 새롭게 채택되어 컴퓨터 시스템과 직접적인 호환성을 가지게는 되었지만 TV세트의 가격이 일반 TV에 비해서 다소 높은 편입니다.

PAL(Phase Alternation Line)

PAL은 Phase Alternation by Line의 약자로서 독일에서 개발된 컬러 TV 방송 방식으로 미국을 비롯한 다른 나라에서 채택되고 있는 NTSC 방식과 비슷하지만 색신호를 취급하는 방법에 차이가 있습니다.

PAL 방식은 NTSC방식에 비해 신호 전송체계에 따른 색변형이 적고 방송설비에 고도의 규격이 필요없다는 이점이 있습니다. 그리고 초당 25프레임을 갖는 방송 방식으로 NTSC(초당 30프레임)보다 프레임 수에서는 뒤지지만 수직 주사선이 625라인으로 더 많고 더 높은 대역폭을 사용하기 때문에 해상도는 NTSC에 비해서 높으며 560 x 720 화소를 나타냅니다. PAL 방식의 수상기는 NTSC 방식에 비해 이미지의 깜박임 현상과 다소 비싸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아래의 표는 NTSC/PAL의 주요제원 입니다

규격명

주사선수

전송화상수

필드주파수

비월주사

종/횡비

영상주파수 영역

음성주파수 영역

주요 채용국

NTCS

525

30매/초

60Hz

2 : 1

3 : 4

4.2MHz

6MHz

일본, 미국, 캐나다등

PAL

625

25매/초

50Hz

2 : 1

3 : 4

5.5MHz

7MHz

영국을
중심으로 한 유럽국가

 

VOD(Video on Demand)

1:1, pull 방식, 단방향대역폭
사용자마다 1개의 스트림특징
비디오 스트림 서버 필요적용 대상
최소 56Kbps이상의 통신 접속 환경

IP-Multicasting

1:N, push 방식, 단방향대역폭
하나의 비디오 스트림으로 수천 명에게 방송 가능특징
비디오 스트림 서버, MPEG Encoder 필요적용 대상
대규모 네트워크의 접속자,인터넷 실시간 방송

Video Conference

N:N or 소수:소수, 양방향대역폭
소수의 사용자를 위해 많은 스트림 필요특징
카메라, 마이크, 캡처보드 ISDN 적용 대상
소규모 회의, 회의실 원격근무, 원격감시 등

IPTV

Internet Protocol-TV의 약자인 IP-TV는 초고속통신망을 TV에 직접(셋탑박스를 이용) 연결해 인터넷과 함께 TV 방송을 볼 수 있는 서비스다. 현재 KT와 하나로텔레콤이 서비스를 준비중으로, 주문형비디오(VOD)에 각종 정보제공과 함께 TV를 통한 전자상거래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 외에 인터넷 전화와 게임, 웹서핑, SMS(휴대폰 단문 메시지) 등 여러가지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약자로, 휴대성 및 이동성을 높인 디지털 TV 방송이다.

DMB 서비스에서 지원하는 비디오 포멧의 압축방식은 H.264다. MPEG-4 AVC라고도 불리는 H.264는 이전 비디오 압축방식보다 훨씬 압축률이 높고, 그러면서도 뛰어난 화질을 보여주는 차세대 압축 표준이다.

H.264 압축은 1Mbps 이하의 전송대역폭에서 DVD 수준의 고품질 비디오를 보여주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이때문에 DMB 서비스나 추후에 선보일 이동방송등에 H.264 압축이 주목을 받고, 많이 쓰여지는 것이다.

DMB 서비스는 전송방식에 따라 위성 DMB와 지상파 DMB 서비스로 나뉘게된다.

위성을 통해서도 DMB 데이터가 전송되지만, 중간에 중계기를 통해서도 DMB 데이터가 전송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렇게 위성 DMB 데이터를 위성에서 받아 다시 사용자의 단말기에게 전송해 주는 중계기를 갭필러(Gap Filler)라고 하는데, 이러한 갭필러는 터널안이나, 지하철, 건물 내부등에 설치돼, 앞서말한 음영지역에서도 위성 DMB를 시청할 수 있게 만들어준다.

DMB 방송기술은 System E(CDM)를 사용한다. 비디오 압축은 H.264 방식이며, 오디오압축은 MPEG2 ACC+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이 방식들은 모두 최고의 압축률과 함께 뛰어난 화질을 보여줘 이동방송등에 매우 적합하다.

지상파 DMB의 경우 비디오압축은 위성파 DMB와 마찬가지로 H.264를 사용하고 있지만, 근간이 되는 방송기술의 경우 System A (Eureka 147)에 비디오 부분을 추가한 방식을 사용한다.

오디오압축의 경우도 위성 DMB의 MPEG2 ACC+와는 달리 MPEG4 BSAC를 채용하고 있다.

미디어플로(MidiaFLO)

퀄컴의 이동 휴대 방송 기술로써 기술적 측면에서 DVB―H, S―DMB, T―DMB 등 현재 나온 이동휴대 방송 기술 가운데 가장 우수한 것으로 인정받고 있다. 특히, 콘텐츠를 계층변조(Layered Modulation) 방식으로 송신해 주파수 대역을 경제적으로 활용하고, 로컬(지역) 콘텐츠를 와이드(전국) 콘텐츠와 동시 송신할 수 있는 등 많은 강점을 갖고 있다.

이게 뭔소리여!!

DMB에 적용되는 압축 규격인 'H.264'를 발전시킨 '인헨스드(Inhenced) H.264'를 활용해 더 자연스로운 화면을 구하한다고 합니다.

2006년 상용화 단계에서는 초당 30프레임, 전송속도 300Kbps를 구현할거라고 합니다.

앞으로 나올 미디어플로 서비스는 6MHz 주파수에서 20개 비디오 채널, 10개 오디오 채널, 클립캐스팅(ClipCasting:일종의 주문형 콘텐츠), 데이터 서비스등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아주 쉽게 뭐가 좋냐면요... SK텔레콤의 '준'이나 KTF의 '핌'에 쓰이는 스트리밍 전송 기술을 실시간 방송 개념으로 발전시킨 기술이라고 합니다. 준이나 핌을 보려면 동영상을 다운로드 받고 재생하기까지 수초간 기다려야 하지만 미디어 플로는 '백그라운드 전송'이라는 실시간 재생 방식을 채택, 실제는 다운로드 방식이지만 사용자 입장에서는 마치 실시간으로 시청하는것처럼 느껴진다고 합니다.

일반 PC에서 wmv 파일은 익스플로워에서 바로 재생이 되지만 avi 어떤건 다운을 다 받고 나서 재생되는게 있죠? 그 차이입니다.

그리고 한국 DMB는 다른 채널을 볼려면 수초간 기달려야 하지만 미디어 플로는 바로 나온다는겁니다. 그만큼 많은 데이터가 전송된다고 봐야겠죠!!

다음으로 미디어플로는 현재의 휴대폰 단말기 배터리를 사용해도 4시간 시청이 가능하고 삼성 전자의 위성 DMB폰(모델명 SCH-B100)의 경우 사용 시간이 2시간 30분이라고 합니다.

2006년에 상용화 된다면 기술적인 측면을 빨리 보완해야 밀리지 않겠죠?

참고) 2004년 퀄컴은 한국 휴대 이동 방송 시장 진출을 모색했으나 외국 기업의 방송사 지분 참여를 제한하고 있는 방송법에 저촉된다는 이유로 답보된 상태라고 합니다.

http://www.qualcomm.com/mediaflo/index.shtml

 

WiBro(와이브로)

Wireless(무선)와 Broadband(대역폭)의 합친말인 WiBro는 2.3GHz 대역의 주파수를 사용, 빠른 속도(1Mbps 정도의 전송속도를 제공)를 제공하는 휴대 인터넷 서비스를 말한다. 뿐만 아니라 전파 거리도 최대 48Km에 달해 기존의 무선랜과 Wi-Fi 서비스보다 10배 이상 넓은것이 특징이다.

WiBro를 사용하면 노트북이나 PDA를 사용하는 휴대용 인터넷에 큰 변혁이 이뤄질것으로 판단되며, 이를통해 이동하면서도 끊김없이 인터넷 TV를 시청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일방적으로 수신만 하는 단방향적인 DMB 방송과는 달리 WiBro의 경우 양방향 TV 라는 장점또한 있다.

DRM

디지털 콘텐츠를 암호화하여 저작권의 보호와 결제승인의 집행, 사용권한의 제한 등을 수행함으로써, 디지털 콘텐츠의 저작권을 보호 받으면서 안전하게 유통시킬 수 있는 인프라 시스템을 제공하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를 모두 포함한다. DRM에 적용되는 세부기술로는 암/복호화(Encryption/ Decryption) 기술, 암호화키의 관리, 인증절차 및 처리, 불법유통 감시 및 추적, 사용규칙의 제어, 사용료 징수 및 결재 등이 포함된다. 또한 DRM 기술은 적용대상에 따라 문서보안과 동영상콘텐츠 보안 DRM으로 나눌 있으며, 적용분야에 따라 유선 인터넷용 DRM, 휴대폰과 PDA에 적용할 수 있는 무선 DRM, 홈 VOD등에 적용할 수 있는 셋톱박스 DRM으로 나뉘어 진다.

ASF

ASF(Advanced Streaming Format)라는 새로운 미디어 스트리밍 표준 기술 규격을 말하며 스트리밍 파일의 일종으로 MS의 기록 포맷이다. 확장자는 asf, asx를 갖는다. 사이즈는 작고 음질이 뛰어나 스트리밍 서비스를 주로 하는 인터넷 방송국등에서 많이 쓰이고 있으며 파일을 다운로드하면서 동시에 재생이 가능한점이 장점이다.

H.264 개요 

H.264는 기존의 동영상 압축 기법에서 사용되었던 것과는 다른 새로운 압축 툴 들을 사용함으로써 압축률 면에서 MPEG2에 비해서는 대략 70%, MPEG4에 비해서는 대략 50%의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며, 따라서 대역폭의 비용이 상대적으로 높은 모바일 응용이나 위성방송 등에 적합한 코덱이라 할 수 있다.  

H.264란 무엇인가?

MPEG ISO and ITU-T 그룹에서 제안된 비디오 압축기술로써 차세대 스트리밍을 주도할 수 있는 획기적인 코덱이라고 할 수 있다.

H.264의 목표는 어떤 다른 표준에 근거한 코덱에 비해서 압축을 50% 향상시키고 또한 H.264는 MPEG-4 Advanced Video Coding (AVC)이라고 일컬어 지게 되고, MPEG-4 Part10 표준이 될 것이다.  AVC는 현존하는 표준 MPEG-4 기준을 개선한 것이기 때문에 이미 개발된 MPEG-4 기반 툴(예: system layer 및 오디오)들 은 이득을 보게 된다. 오디오 면에서, H.264는 널리 수용되고 있는 AAC를 도입한다.

H.264에 어떤 이득을 얻을 수 있나?

H.264/AVC는 MPEG-2 압축표준보다 코딩 효율성 면에서 획기적으로 개선된 기능을 제공한다. 기술 연구소 테스트에서 50~60% 정도까지 bitrate 감소효과를 보여주고 있다. 이것은 Cable, Satellite, Telecom등 네트워크에서 저렴한 비용으로 고화질 비디오를 전송할 수 있다.

 

스트리밍 서버

소개

인터넷 방송 윈도우 미디어 서버 운영하는 법이나 IDC 센터의 미디어 서비스에 대해서 알아 봐야겠다.

1. Windows Media Services 9 Series

http://www.microsoft.com/windows/windowsmedia/9series/server.aspx

2. real Media Servers

http://www.realnetworks.com/products/media_delivery.html

3. VDOLive

Vdonet사에서 개발된 실시간 비디오 스트리밍 서버(VODLive Personal Server)와 실시간 동영상 플레이어(VDOLive Player)를 제공했는가 본데 현재는 사이트가 없어진거 같습니다.

 

미디어 서버 설치 가이드 사이트입니다.

http://www.microsoft.com/korea/technet/win2000/wmtbest.asp?bPrint=True
http://sygypose.com.ne.kr/window2k/2k24.htm

http://
www.tibs.co.kr/cgi-bin/hgdboard2002/db/pds3/upfiles/multicast.htm

 

스트리밍 호스팅 서비스 소개

http://www.bjn.co.kr
http://www.withustech.com
 필요한 내용 뽑아오기

 

RTSP 소개

RTSP/RTP란

TCP 등을 사용한 스트리밍 전송은 실시간 전송이 용이하지 않다. Timeout 이 지난 패킷은 과감히 버리고 다음 화면을 바로바로 표시해줄 수 있는 프로토콜이 필요한데 RTP(Real Time Protocol)이 바로 그것을 위한 프로토콜이다. 보통 TCP/IP 상에서 UDP 패킷위에 RTP 패킷을 얹어서 사용한다. ( TCP 는 losses protocol 이기 때문에 중간에 잃어버리는 패킷은 반드시 다시 채워야 하므로 Timing 에 대한 부분은 미약하다.)

RTCP, RTSP 등과 같은 보조 프로토콜등과 연동한다. RTCP 는 RTP를 컨트롤 하기위한 패킷으로 예를들면 네트웍 상황이 악화되어 동영상이 끊길 경우 퀄리티를 낮춤으로써 필요한 네트웍 대역폭은 낮춰 플레이 속도에 알맞게 해야한다. 이럴 때 필요한 컨트롤 프로토콜이 RTCP 이다.

RTSP 는 Play, Stop 과 같이 마치 TV 의 Remote Control 과 같은 것이다. RTP 전송을 시작하기전 Session 을 맺는 단계를 RTSP 에서 보통 맺는다. 프로토콜은 HTTP 와 비슷하게 ASCII 기반으로 되어있다.

RTP 를 통해서 보낼 수 있는 미디어 타입은 다양하다. Video Type 으로 JPEG, H.323 등 여러가지 타입이 지원된다.

관련 Reference

RFC2327 - SDP: Session Description Protocol
      RTSP 에서 DESCRIBE Method 에 대한 Response 를 돌려줄때 보통 사용되는 포멧       MIME Type 이 application/sdp 이다.

RFC2035 - RTP Payload Format for JPEG-compressed Video
      RTP 에 JPEG 이미지를 실어 보내는 스펙이다.

 

Real Time Streaming Protocol
http://www.rtsp.org

 

RTSP/RTP스트리밍 미디어 서버

스트리밍 미디어 전송을 위해 사용하는 프로토콜 (Transmission protocol)에는 각 미디어 플레이어 옵션 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UDP, TCP, HTTP, RTSP 등이 있 다. 그중 스트리밍 데이터 전송을 위해 만든 RTP/RTSP 두가지 산업 표준을 여러 개발 벤더에서 선택/사용하고 있는데, RTP(real-time transport protocol)는 RFC1889(1996년 1월), RTSP (Real Time Streaming Protocol)는 RFC2326(1998년 4월)에서 그 내용을 각각 확인할 수 있다.

HTTP는 랜덤 액세 스를 하기 위한 파일 서버 성격이 강하므로 일정 시간 동안 연결을 지속하기에 적당하지 않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트리밍 미디어 전송에 알맞은 프로토콜로 RTSP를 개발하였고, 현재 RTSP 스트리밍을 지원하는 여 러가지 미디어 서버를 찾아볼 수 있다.

RTSP 스트리밍을 지원/사용하는 주요 미디어 서버를 살펴보면, Real Networks의 Real Server G2와 Apple의 QuickTime Streaming Server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특히 RTP/RTSP 미디어 서버로 QuickTime Streaming Server, RTP/RTSP 클라이언트로 QuickTime 4를 이야기하는 경우 를 자주 찾아볼 수 있다.

Free/Open Source RTSP Media Servers

알려진 것처럼 Apple Computer 에서 Darwin Streaming Server라 는 이름으로 오픈 소스 서버를 내놓기도 하였다. QuickTime Streaming Server와 같은 코드를 기반으로 하 는 Darwin Streaming Server는 (짐작할 수 있는 것처 럼) 초기에는 MacOS X Server 플랫폼에서만 작동하였으 나 v2.0.1까지 나온 현재는 FreeBSD, Red Hat Linux, Solaris, Windows NT4/2000 Server 등 다양한 플랫폼에 서 선택/운영할 수 있다.

APSL(Apple Public Source License)에 따라 Darwin 소스를 바탕으로 하는 미디어 서버도 찾아볼 수 있는데, PRISS (The Portable RT[S]P Internet Streaming Server) 프로젝트가 바로 그것이다. PRISS는 Linux i386 기반 서버에서 운영하는 것을 목적 으로 하며, StreamingServer.org에서 Darwin 포 터블 버전을 구할 수 있다.

entera의 TeraCAST Server(링크가 안되네요. 망했나!)

Linux i386 아키텍처 뿐만 아니라 FreeBSD/i386, Sun Solaris/SPARC, Win98/NT 등 다양한 플랫폼을 지원하는 스트리밍 미디 어 서버로 EnteraTeraCAST Server를 빼놓을 수 없 다.

TeraCAST Server는 RTP/RTSP 프로토 콜을 사용하며 QuickTime과 JMF(Java Media Frameworks) 2.0 기반 Java Media Player 등의 RTSP/RTP 클라이언트를 지원할 수 있다.

TeraCAST Server는 동시에 30 스트림 까지 처리할 수는 TeraCAST Server Lite 버전과 상용 제 품인 TeraCAST Server Plus두가지가 있다. Lite 버전은 물론 인터넷에서 무료로 다운로드 하여 사용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