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정부가 7월 1일부터 드라마 제작 규제를 완화하기로 하면서, 한중간의 드라마 교류가 더욱 증가할 전망이다.
현재는 갑종 방송국인 132개만 드라마를 제작할 수 있지만, 앞으로는 을종 방송국 및 성급 지방 방송국까지 광전총국의 제작 허가증만 갖고 있다면 드라마 제작에 나설 수 있게 되기 때문이다.
이렇게 될 경우 현재 132개인 중국내 드라마 제작사가 4천57개로 늘어나게 된다.
이에 따라 KBS 등 국내 지상파 방송사와 CJ미디어 등의 한중 드마라 공동 제작이나 제작 컨설팅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한중 공동 제작 및 진출에 유리
짜오휘 중국쩐메이대 영화·TV방송학원 강사는 28일 베이징 쩐메이대학에서 열린 '한·중 미디어 포럼'에 참석해 "나흘 후 광전총국이 63호령을 통해 중국의 드라마 제작 규제를 제작 허가증을 가진 지방방송국 등으로 확대한다"면서 "앞으로 한국과 중국의 드라마 제작 콘텐츠 교류가 더 늘 것이며, 더 많이 드라마 콘텐츠 제작사들이 중국과 교류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그는 "CCTV 드라마 센터가 기업화돼 CCTV의 국유화로 운영되지 않고 있는 등 전국 드라마 센터도 기업으로 운영된다"면서 "자체 투자도 있지만 정부 투자도 늘어나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짜오휘 강사에 따르면 중국 정부는 얼마전 6억8천 위안을 드라마 제작에 투자해 정부 주도로 10편 이상을 제작해 5천억 위안 이상의 수입을 회수한 바 있다.
서장원 CJ미디어 상무는 "중국 정부의 이번 조치로 한·중간 드라마 공동제작이 활성화될 기반이 마련됐다"면서 "이는 한국 시청자를 타깃으로 한 콘텐츠를 중국에 들여오는 게 아니라, 중국 정부의 문화 정책을 이해하는 속에서 제작 능력을 지원해 함께 동남아나 미국의 화교권 등으로 나가자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외국인 규제는 여전…정부 차원의 노력 필요
그러나 광전총국의 드라마 현지 제작 규제 완화에도 불구하고, 외국인에 대한 규제는 여전하다. 중국 드라마 제작사에 대한 외국인 지분은 허용돼 있지 않고, 연간 3분의 2 이상은 중국을 소재로 한 드라마를 반드시 제작해야 하는 것이다.
우리나라는 드라마 제작사에 대한 외국인 지분은 허용돼 있고, 제작물 관련 규제도 없다.
이에 따라 한중 FTA가 체결되면 이같은 진입 장벽이 낮아질 수 있다는 기대가 나온다.
그러나 짜오휘 강사는 "한국이 중국과의 FTA 체결후 바라는 건 미디어 시장 개방이 아닌가"라면서 "한국은 2005년 중국드라마 '황제의 딸' 이후 중국 드라마 수입에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고, 황금 시간대가 아닌 곳에 편성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재호 동아방송예술대학 교수는 "중국의 국제화 전략은 중국의 생각으로 세상을 바꾸겠다는 것이여서 우리와 차이가 난다"면서 "한국과 중국이 글로벌 미디어 분야에서 협력하려면 공통의 목표를 인식하고 공유하는 동시에 양국간 특수성을 이해하고, 단기적인 매출 증대라는 시장의 관점보다는 문화나 콘텐츠 교류라는 중장기적인 생각을 더 많이 했으면 한다"고 조언했다.
◆중국, 판권은 드라마 제작사가 보유
한편 중국 정부는 방송산업 활성화를 위해 송출과 제작시스템을 분리해 전문적인 드라마 제작사를 키우고 있다. 국영방송인 CCTV의 경우 '영사부'라는 전문 드라마 제작 부서가 있었는데, 이를 분리해 '영사채널'로 개편하고, 여기서 만든 모든 드라마 판권은 CCTV가 아닌 '영사채널'이 갖는 구조인 것.
CCTV와 함께 중국 내 4대 방송사로 꼽히는 BTV 역시 'BTV M'이라는 회사를 만들어 BTV에서 만들어지는 프로그램에 대한 판권을 소유하고 있다.
이는 KBS나 MBC, SBS 같은 국내 지상파 방송사들이 드라마를 인하우스로 제작하고 대부분의 판권을 갖는 우리 현실과 다르다.
최성진 서울산업대 교수는 "대부분의 판권 등 저작권을 지상파 방송사가 갖고 제작회사(PP)들은 제작비를 일부 보조받는 현실을 고칠 필요가 있다"면서 "스튜디오가 중간에 끼어 프로그램 기획 및 제작 매니지먼트를 하고 지상파방송사(플랫폼사업자)는 방영권을 중심으로 전환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콘텐츠의 글로벌화는 어렵다"고 말했다.
최 교수는 정부가 특수목적법인(SPC)을 만들어 저작권을 담보로 드라마제작사들에게 돈을 빌려주고 관련 콘텐츠를 데이터베이스화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하기도 했다.
서장원 CJ미디어 상무도 1970년도부터 1995년도까지 독립제작사 권리 보호법을 통해 판권을 독립제작사에게 부여한 미국의 예를 들면서 국내에서도 드라마 등의 저작권 유통시스템이 획기적으로 바뀌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현재는 갑종 방송국인 132개만 드라마를 제작할 수 있지만, 앞으로는 을종 방송국 및 성급 지방 방송국까지 광전총국의 제작 허가증만 갖고 있다면 드라마 제작에 나설 수 있게 되기 때문이다.
이렇게 될 경우 현재 132개인 중국내 드라마 제작사가 4천57개로 늘어나게 된다.
이에 따라 KBS 등 국내 지상파 방송사와 CJ미디어 등의 한중 드마라 공동 제작이나 제작 컨설팅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한중 공동 제작 및 진출에 유리
짜오휘 중국쩐메이대 영화·TV방송학원 강사는 28일 베이징 쩐메이대학에서 열린 '한·중 미디어 포럼'에 참석해 "나흘 후 광전총국이 63호령을 통해 중국의 드라마 제작 규제를 제작 허가증을 가진 지방방송국 등으로 확대한다"면서 "앞으로 한국과 중국의 드라마 제작 콘텐츠 교류가 더 늘 것이며, 더 많이 드라마 콘텐츠 제작사들이 중국과 교류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그는 "CCTV 드라마 센터가 기업화돼 CCTV의 국유화로 운영되지 않고 있는 등 전국 드라마 센터도 기업으로 운영된다"면서 "자체 투자도 있지만 정부 투자도 늘어나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짜오휘 강사에 따르면 중국 정부는 얼마전 6억8천 위안을 드라마 제작에 투자해 정부 주도로 10편 이상을 제작해 5천억 위안 이상의 수입을 회수한 바 있다.
서장원 CJ미디어 상무는 "중국 정부의 이번 조치로 한·중간 드라마 공동제작이 활성화될 기반이 마련됐다"면서 "이는 한국 시청자를 타깃으로 한 콘텐츠를 중국에 들여오는 게 아니라, 중국 정부의 문화 정책을 이해하는 속에서 제작 능력을 지원해 함께 동남아나 미국의 화교권 등으로 나가자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외국인 규제는 여전…정부 차원의 노력 필요
그러나 광전총국의 드라마 현지 제작 규제 완화에도 불구하고, 외국인에 대한 규제는 여전하다. 중국 드라마 제작사에 대한 외국인 지분은 허용돼 있지 않고, 연간 3분의 2 이상은 중국을 소재로 한 드라마를 반드시 제작해야 하는 것이다.
우리나라는 드라마 제작사에 대한 외국인 지분은 허용돼 있고, 제작물 관련 규제도 없다.
이에 따라 한중 FTA가 체결되면 이같은 진입 장벽이 낮아질 수 있다는 기대가 나온다.
그러나 짜오휘 강사는 "한국이 중국과의 FTA 체결후 바라는 건 미디어 시장 개방이 아닌가"라면서 "한국은 2005년 중국드라마 '황제의 딸' 이후 중국 드라마 수입에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고, 황금 시간대가 아닌 곳에 편성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재호 동아방송예술대학 교수는 "중국의 국제화 전략은 중국의 생각으로 세상을 바꾸겠다는 것이여서 우리와 차이가 난다"면서 "한국과 중국이 글로벌 미디어 분야에서 협력하려면 공통의 목표를 인식하고 공유하는 동시에 양국간 특수성을 이해하고, 단기적인 매출 증대라는 시장의 관점보다는 문화나 콘텐츠 교류라는 중장기적인 생각을 더 많이 했으면 한다"고 조언했다.
◆중국, 판권은 드라마 제작사가 보유
한편 중국 정부는 방송산업 활성화를 위해 송출과 제작시스템을 분리해 전문적인 드라마 제작사를 키우고 있다. 국영방송인 CCTV의 경우 '영사부'라는 전문 드라마 제작 부서가 있었는데, 이를 분리해 '영사채널'로 개편하고, 여기서 만든 모든 드라마 판권은 CCTV가 아닌 '영사채널'이 갖는 구조인 것.
CCTV와 함께 중국 내 4대 방송사로 꼽히는 BTV 역시 'BTV M'이라는 회사를 만들어 BTV에서 만들어지는 프로그램에 대한 판권을 소유하고 있다.
이는 KBS나 MBC, SBS 같은 국내 지상파 방송사들이 드라마를 인하우스로 제작하고 대부분의 판권을 갖는 우리 현실과 다르다.
최성진 서울산업대 교수는 "대부분의 판권 등 저작권을 지상파 방송사가 갖고 제작회사(PP)들은 제작비를 일부 보조받는 현실을 고칠 필요가 있다"면서 "스튜디오가 중간에 끼어 프로그램 기획 및 제작 매니지먼트를 하고 지상파방송사(플랫폼사업자)는 방영권을 중심으로 전환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콘텐츠의 글로벌화는 어렵다"고 말했다.
최 교수는 정부가 특수목적법인(SPC)을 만들어 저작권을 담보로 드라마제작사들에게 돈을 빌려주고 관련 콘텐츠를 데이터베이스화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하기도 했다.
서장원 CJ미디어 상무도 1970년도부터 1995년도까지 독립제작사 권리 보호법을 통해 판권을 독립제작사에게 부여한 미국의 예를 들면서 국내에서도 드라마 등의 저작권 유통시스템이 획기적으로 바뀌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