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이블TV산업 현황과 현안
1) 케이블TV 산업 현황
□ 개념 및 정의
○ 케이블TV 서비스 개념
- 전국 77개 권역별 종합유선방송사업자(SO)가 전송망사업자(NO)의 광·동축 혼합망을 이용하여 뉴스·드라마·영화·스포츠 등 다수의 특화된 방송채널사용사업자(PP)의 프로그램을 가입자에게 제공하는 유료방송 서비스
□ 도입 배경
○ 1961년, 유선방송관리법에 의거 새마을앰프방송 출범(RO의 시초)
- 1970년, TV난시청 해소 목적으로 유선방송(RO, Relay Operator) 출범
- 기술적 낙후성 및 사회적 문제 야기로 한계에 직면
○ 1995년, 다음과 같은 취지에 따라 케이블TV(SO/PP) 도입
- 지방분권시대에 부응하는 <지역 밀착 채널> 탄생 필요
- 정보사회 구현에 이바지할 <인프라 구축> 요구에 부응
- 국민의 <다양한 콘텐츠 욕구>에 대한 충족 (다채널 및 지상파재전송)
□ 사업자 구도
○ 종합유선방송사업자(SO, System Operator)
- 다채널방송을 하기 위해 유선방송국 설비를 갖춘 종합유선방송국을 관리·운영하며 전송·선로설비를 이용하여 방송을 행하는 사업자
○ 방송채널사용사업자(PP, Program Provider)
- 특정 분야의 전문화된 프로그램을 편성하여 종합유선·위성방송사업자 등과 특정채널에 대한 전용 사용 계약을 체결하고 이를 사용하는 사업자
○ 전송망사업자(NO, Network Organizer)
- 방송프로그램을 종합유선방송국에서 시청자에게 전송하기 위하여 유·무선 전송 설비를 설치·운영하는 사업자
※ 초기 3분할 시스템에서 SO의 자가망 구축 및 NO 망 인수로 2분할 구도로 변화
□ 도입 경과
- 1991.12종합유선방송법 제정·공포
- 1995. 3케이블TV 방송 개시
- 1997.12인터넷 서비스 상용화
- 2000. 1통합방송법 제정·공포 (MSO 등장 및 PP 등록제 허용)
- 2005. 3디지털케이블TV 상용서비스 개시
- 2007. 9SO, VoIP 상용서비스 개시
- 2008. 8디지털케이블TV 가입자 150만 돌파
□ 사업자 현황
○ 종합유선방송사업(SO) 현황
- 약 1,500만 가입자 (총가구수의 84%, 아날로그 1,350만/디지털 150만)
- 방송사업자 : 77개 구역, 103개 종합유선방송사업자
- MSO (Multiple System Operator) 겸영 현황
: T-Broad (15개 SO), 씨앤앰 (15), CJ (14), CMB (12), HCN (11), 큐릭스 (7), 온미디어 (4), GS홈쇼핑 (2)
○ 방송채널사용사업(PP) 현황
- PP 등록현황(’08.3월)
: 220개 사업자, 502개 채널(TV 224, 라디오 210, 데이터 68) 승인?등록
- MPP (Multiple Program Provider) 겸영 현황
: CJ미디어 (20개 채널), 온미디어 (17), SBS (6), 한국디지털위성방송 (6), KBS (5), MBC (5), 중앙일보 (4), EBS (4) 등
○ 전송망사업자(NO) 현황
- 파워콤, 중계유선사업자 등
<방송시장 (SO, PP, 지상파) 현황>
구분 |
SO |
PP |
지상파 |
사업자 수 |
103개 |
212개 |
44개 |
산업 종사자 수 |
5,581명 (AS포함 15,000명) |
9,179명 |
13,785명 |
매출액 |
2조 1,358억원 |
(전체) 3조 9,071억원 (홈쇼핑 제외, 1조 9792억원) |
3조 8,977억원 |
주1) 전체 산업규모는 2007년12월말 기준.
주2) PP 경우, 홈쇼핑 비중이 매우 높아 홈쇼핑을 제외한 매출액(실제 방송콘텐츠 관련 매출)을 제시.
주3) 지상파 방송은 지역MBC, 지역민방, 특수방송, 라디오 포함임.
2) 케이블TV의 주요 기능
□ 사회?문화적 기능
○ 지상파 난시청 해소 → 방송의 공공성·보편성 역무 분담 (수신기능 확대)
※ 광대역 HFC망 구축을 통한 난시청 해소 증강 (홈패스율 96.4%)
○ 다채널 방송 실현 → 다원화 시대의 중심매체로 정착
○ 콘텐츠 산업 육성 발전 → HD 콘텐츠 제작 등
○ 지역 밀착형 방송 → 지역문화 및 지역 여론 활성화
□ 산업적 기능
○ 디지털방송 인프라기반 구축
- 케이블의 디지털 기반 인프라 구축은 디지털방송 체제의 근간
· 디지털방송 가능한 750MHz 이상 망 91%, 업그레이드가 필요한 550MHz 이하 망은 9% 수준
· 아파트 구내 망 : 공동주택 대상 935만 세대 중 530만 세대 고도화
- 아날로그TV 지속 사용자(30%예상)에 대해서도 보편적 시청권 보장 노력
○ 고품격 디지털 서비스 제공
- 디지털화를 통해 HD급 VOD·데이터방송·부가서비스 등 ‘신규 서비스’ 제공
- 신성장 동력인 콘텐츠 산업에 적극적 투자(2조원 투자 예정)
※ 아날로그방송에서의 ‘채널변경’ 등 문제점 개선 기대
○ 방송통신 융합 서비스 제공
- 초고속인터넷 서비스
: 267만 가입자 (시장점유율 17.7%, 2008년 10월 기준)
※ SO의 인터넷서비스 제공 이후 인터넷 이용요금 50% 인하 효과 (45,000원->22,000원)
- 인터넷전화(VoIP,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 15만 가입자 (2008년 12월 기준)
- 케이블TV 기반 결합서비스(TPS) 제공으로 융합서비스 시장 개척
: 전화(인터넷전화) + 초고속인터넷(100메가급 포함) + 방송(디지털케이블TV)
3) 케이블TV의 산업 효과
□ 케이블TV의 디지털 전환 산업 유발 효과
○ 디지털 전환 계획
- DMC(Digital Media Center) 고도화·H/E(Head End) 투자·망 고도화·디지털 STB (Set Top Box) 보급 등 디지털 전환 비용으로 현재까지 총 2조 5,000억 원 투자
항 목 |
내 용 |
금액 |
디지털 STB |
(고급형: 330만×22만원)+(표준형: 810만×17만원)+(보급형: 480만×12만원) |
2조 6,790억원 |
전송망 고도화 |
SO H/E 디지털화, 전송망 고도화/증축, 가입세대 댁내망(구내설비) 고도화 개선, DMC 구축 |
2조 2,275억원 |
디지털 콘텐츠 |
디지털 콘텐츠 자체 제작, PP 디지털화 장비/시설 투자 |
2조 1,367억원 |
* 1,620만 가구(가입대수 기준) 가입을 목표로 산정한 수치
** HD급은 STB 공구(H/W) 12만원 + CAS 및 미들웨어 5만원으로 구성됨
○ 생산유발효과
STB |
디지털TV |
콘텐츠(PP수신료) |
3조 5,160억원 |
12조 4,650억원 |
1조 3,176억원/연간 |
* PP수신료는 2011년 이후 방송위 권고 수준인 30%로 추정, STB와 수상기는 2006년부터 2012년까지의 유발효과임
□ VoIP(인터넷 전화) 관련 고용창출 전망
구분 |
2008년 |
2009년 |
2010년 |
2011년 |
2012년 |
가입자 수 |
30만 |
150만 |
300만 |
420만 |
500만 |
설치 A/S |
150 |
750 |
1,500 |
2,100 |
2,500 |
고객관리 |
30 |
150 |
300 |
420 |
500 |
기타(일반관리) |
6 |
30 |
60 |
84 |
100 |
합계 |
186 |
930 |
1,860 |
2,604 |
3,100 |
□ QPS 구축 위한 신규 투자 요인 증대
○ 무선시장에 대한 적극적 투자를 통해 산업발전에 기여
- 시스템 구축비용 추산 : 1조 ~ 1.5조 (주파수 관련 비용 배제)
- 단말기 개발 비용 : 1개 모델 500억 (최소 3~4종)
- A/S, 콜센터, 영업 등의 일자리 창출 : VoIP와 유사 수준 예상 (3,000여 명)
<케이블TV 산업유발 효과> |
|
? 2012년까지 디지털 전환 및 신규사업에 따른 총 투자비는 7조 0,432억원 + α(무선시장) 로 예측 (기투자액 2조5천억원) → 케이블TV의 투자 수요는 높은 반면 자금 조달에는 어려움을 겪고 있음 ? 디지털케이블TV 2012년까지 총 2만 6천명의 일자리 창출 계획(VoIP, 무선 포함) |
□ 종합적이고 합리적인 ‘미디어 정책’의 부재
○ 지난 10년간 방송정책의 중점은 신규 플랫폼 도입에 있었음
- 케이블TV(1995년), 위성방송(2002년), DMB(2005년), IPTV(2008년)
○ 반면 유료방송산업의 재원인 광고시장, 수신료 시장은 커지지 않았음
- 뉴미디어가 출현할 때마다 수익성은 제로섬 게임
○ 이에 유료방송시장의 ‘저가 출혈경쟁’이 극심해져, 산업구조의 질적 퇴보를 유발
⇒ 소모적인 가격경쟁이 영상산업 선진화의 발목을 잡음
□ 방송영상 산업 발전 위한 ‘저가(低價) 시장구조’ 극복 필요
○ 케이블TV 가입자당 평균 수신료(ARPU, Average Revenue Per User)는 약 6$ (5,888원)원에 불과
- 인도네시아·필리핀 등 아시아 개발도상국가의 25∼50% 수준
<국가별 케이블TV 가입자 평균 수신료 비교>
(2007년 말)
호주 |
일본 |
미국 |
홍콩 |
인도네시아 |
대만 |
필리핀 |
대한민국 |
55$ |
42$ |
38$ |
26$ |
24$ |
16$ |
12$ |
6$ |
○ 또한 통신요금에 비해 방송서비스 요금이 매우 저렴한 시장구조
- 대표적인 공공재적 서비스인 유선전화 요금 대비 요금 지수로 비교했을 때, 국내 이동통신요금은 미국에 비해 2배 이상 비싼 반면, 케이블TV 요금은 1/4 수준에 불과한 싼 구조
<유선전화요금 대비 방송/통신 요금 수준>
(2006년 말 ARPU)
|
유선전화 |
무선전화 |
인터넷 |
아날로그방송 |
디지털 방송 |
미국(comcast) |
40$ |
53$ |
43$ |
51$ |
68$ |
지수비교 |
1.00 |
1.33 |
1.08 |
1.28 |
1.70 |
한국 |
16,145원 |
42,519원 |
24,505원 |
5,600원 |
17,000원 |
지수비교 |
1.00 |
2.63 |
1.57 |
0.34 |
1.05 |
○ SO시장 상황 변화
- 연이은 M&A 과정에서 SO의 기업가치가 급상승한 까닭에 높은 수익을 올린 것으로 보이나, 유료방송시장의 구조적 문제로 투자대비 적정 수익 미흡
- 낮은 수신료 수입 구조로 인해 홈쇼핑수수료 및 인터넷 수익에 크게 의존
- 현재 ‘요금 상한제’만 적용됨에 따라 저가 경쟁 방지대책 부재
<2007년 SO 총매출액 구성 현황>
(단위: 억원)
수신료 |
광고 |
시설 설치 |
컨버터 대여 |
기타방송수입 |
기타사업수익 |
총매출액 |
9,948 |
1,079 |
453 |
2,820 |
3,103 |
6,491 |
23,894 |
41.6% |
4.5% |
1.9% |
11.8% |
13.0% |
27.2% |
100% |
○ PP시장
- 낮은 프로그램 사용료 수익으로 인해 광고 수익에 의존하는 기형적 구조 형성
- 광고 수익 의존도가 높아질수록 프로그램 제작투자를 통한 부가가치 창출보다는 플랫폼 런칭을 위한 마케팅에 주력하게 되는 후진적 사업모델로 귀착
<2007년 PP 총매출액(홈쇼핑제외) 구성 현황>
(단위: 억원)
수신료 |
광고 |
상품판매 |
기타 |
총매출 |
2,382 |
8,747 |
1,695 |
6,967 |
19,792 |
12.0% |
44.2% |
8.6% |
35.2% |
100% |
- 열악한 경영환경으로 콘텐츠에 과감한 투자가 불가능한 구조
▶ 케이블TV 업계의 디지털전환 및 융합서비스에 대한 투자 촉진을 위해서는 ‘규모의 경제’ 실현을 통한 산업구조 선진화가 불가피
미디어정책은 ‘수익구조의 선진화’에 기반한 ‘콘텐츠 육성’ 및 ‘서비스 경쟁’을 지향해야 함
· ‘이용자 편익(적정 부담/질 높은 콘텐츠)’과 ‘투자유인’ 사이의 균형감 중요 · 시장구조의 정상화를 통해 경쟁촉진과 투자활성화를 확립하고, 이에 따라 각 사업자별로 차별화된 서비스 경쟁체제로 유도하는 것이 필요
⇒ ‘마케팅 기반의 가격 경쟁’이 아닌 ‘콘텐츠 기반의 서비스 경쟁’ 체제의 확립이 관건 |
□ 방통융합 환경에 적합한 ‘공정경쟁’ 기반확립
○ 융합의 시장적 의미는 방송·통신 양측 사업자의 기존 고유시장에 대한 상호진출을 의미 (상호경쟁을 통한 소비자 편익 증진에 초점을 맞춰야 함)
- 케이블TV는 이미 방송통신 융합서비스의 한 축을 담당해왔으며, 통신사업자 대비 저비용·고효율 사업 가능
· 그럼에도 불구 케이블TV는 지상파, 통신 지배사업자에 낀 샌드위치 처지
- 각 시장에서 지배사업자와 공정하게 경쟁할 수 있는 정책 방안 마련 필요
○ 공정경쟁의 기본 전제는 ‘동일서비스 동일규제’, ‘필수설비의 접근성 보장’임
- 사실상 동일한 서비스임에도 불구하고 IPTV는 진흥 중심의 특별법에 적용받으며 디지털케이블TV는 규제 중심의 방송법에 적용받고 있음
※ 특별법 형식인 IPTV법을 방송법에 포함시키는 통합법 검토 필요
- 반면 각 매체 특성을 반영한 역할분담 체계도 필요
· 케이블TV의 ‘난시청 해소’, ‘지역성 구현’은 여전히 지켜져야 할 가치임
- 전기통신사업법은 KT가 보유한 전주·관로 등 대체불가능한 필수설비를 타 사업자에게 의무제공토록 하고 있으나, 적용대상을 통신으로만 국한
· 그 결과 해당 설비를 방송·통신 겸용으로 사용하는 SO의 경우 KT가 경쟁사업자 견제 차원에서 불합리한 추가 과금을 하더라도 시정할 방법 부재
□ 시장지배력 전이 방지를 위한 경쟁구도 조성
○ IPTV와 케이블TV는 동일 시장을 두고 전면적으로 경쟁하는 대체적 관계
- IPTV가입자 증가는 곧 케이블TV 가입자의 감소를 의미
○ 규모의 경제는 전국사업자인 IPTV사업자가 유리, 규제는 케이블TV사업자 불리
○ 유료방송이 ‘저가 출혈경쟁 구도’로 고착되지 않도록 시장구조 개선 시급
- ‘가격 덤핑’(방송 끼워팔기)은 방송영상산업의 황폐화로 귀결
- 네트워크 경쟁이 아닌 차별적 서비스 경쟁(콘텐츠 차등화) 유도
○ IPTV의 잠재적 시장은 인터넷가입을 전제로 형성되며, 이에 IPTV서비스는 결합서비스 중심으로 가입자를 유치할 수밖에 없음
- 결합서비스 경쟁구도가 형성됨에 따라 초고속인터넷과 유선전화 시장에서의 지배력이 유료방송 시장으로 전이될 가능성 높음
- 거대통신사업자의 지배력전이를 방지하는 공정경쟁 보장 시스템 구축 필요
□ 방송사업자의 통신시장 진입 촉진을 위한 제도 개선
○ TPS 안정화 위한 VoIP 지원 대책 강구
- 유선전화와 VoIP 간 상호접속료의 불평등 구조 심화(분당 접속료: ‘VoIP→유선전화’는 18.9원, ‘유선전화→VoIP’는 5.5원)
- 유선통신시장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공정한 상호접속료 체제 구축 필수적
○ 방송사업자의 QPS 진출이 가능하도록 SO의 무선시장 진출 적극 지원
- 무선망이 없는 SO의 경우, 통신사업자와의 결합서비스 시장 경쟁에서 절대적으로 불리한 상황
- SO의 무선통신시장 진출을 위한 정책적 지원이 절실한 실정
· MVNO (Mobile Virtual Network Operator) 제도의 조속한 도입: 도매제공 범위 및 서비스 품질 보장
· 방송사업자의 MNO (Mobile Virtual Network Operator) 참여 진흥방안 마련: 800MHz 및 미래 주파수(4G) 자원 배분 시 정책적 배려
□ 차별화된 콘텐츠 기반 경쟁 유도
○ 기존의 미디어산업정책은 콘텐츠 육성보다 네트워크 투자에 편중
- IPTV의 경우 초기엔 기존 유료방송과는 다른 차별화된 콘텐츠 육성에 역점을 두는 듯 했으나, 결국 유료방송 콘텐츠의 중복제공 수준에 고착
- 신규 IPTV사업자 역시 콘텐츠 부문보다 네트워크 부문 투자에 치중
○ 콘텐츠의 질적 고도화 및 상생 구도의 매체 차별화 정책 필요
예) 케이블TV (보편적 매체) vs IPTV (선택적 매체) 등의 포지셔닝 차별화
□ 콘텐츠 산업 활성화를 위한 PP시장 정상화
○ PP등록제 도입에 따른 부작용
- 양적증가에 따른 PP간 기형적 경쟁 구조 발생
- 광고수익 극대화를 위한 유사 홈쇼핑 사업모델 확산
⇒ 진입은 자유롭게 하되, 불량 PP는 엄격한 제재 및 면허반납 추진
○ PP시장 정상화를 위한 개선방안
- 등록제 운영 개선 검토 및 수신료 적정 배분구조의 정착
· 최저요금제 등 덤핑방지책 마련 필요
- 광고제도 개선 (중간광고 확대 및 가상광고 시행)
- 플랫폼 사업자와 PP간 공정거래 질서 확립
- 신규 플랫폼에 대한 실시간 운용채널수 확대(현행 70개 → 100개 이상)
· 유료방송콘텐츠의 선순환 시스템을 확립하기 위해서는 PP의 플랫폼 진입기회 확장 필요
□ ‘방송콘텐츠 진흥 법률’ 제정을 통한 글로벌 경쟁력 육성
○ 한미 FTA 협정 이후를 대비한 국내 PP사업자들의 경쟁력 확보 방안 전무
○ 이에 방송콘텐츠 진흥기구의 단일화를 통한 콘텐츠 산업 지원 특별법 제정
· 콘텐츠 원천 및 요소 개발 지원, 유통구조 개선, 글로벌 경쟁력 확보안 등을 포함해야 함
※ 현재 ‘방송콘텐츠 진흥에 관한 법률(이경재의원 대표발의)’이 상임위에 제출
□ 현황 및 문제점
○ IPTV 도입으로 대표되는 방송?통신의 영역간 융합은 기존 방송·통신 시장구도를 전면적인 QPS(방송+유?무선통신) 경쟁구도로 재편
- 방통융합시장은 QPS가 가능한 3~4개 기업군의 경쟁구도로 재편 전망(KT-KTF의 합병추진, SKT의 하나로 인수, LG그룹 내 유무선 Portfolio)
- 통신 지배적사업자에 대한 규제는 완화된 반면, 신규사업자의 이통시장 진입은 무산되어 시장경쟁 활성화 저해
□ 개선방안
○ 케이블TV방송사업자의 무선통신시장 진입을 위한 제도 및 정책지원 강화
- 신규사업자의 통신시장 진입은 경쟁 활성화 및 다양한 서비스 제공을 통해 수용자 복지 증진 및 주파수 효율성 강화에 도움
· 별도의 허가가 필요한 무선통신분야의 진입장벽이 획기적으로 개선되어야 제4의 경쟁사업자가 시장진입 가능
· 전기통신사업법 개정요청 사항(MVNO 허용)에 대한 조속한 재입법화 필요
○ 또한 SO가 ‘규모의 경제’를 실현할 경우 VoIP나 이동통신 서비스 등을 추가로 제공하는 방송통신 결합서비스인 TPS 및 QPS 도입이 촉진되어 이에 따른 이용자의 요금할인이 예상됨
- 이는 통신사업자와 SO 간의 경쟁을 활성화시켜 서비스 품질의 향상은 물론 기존 통신사업자의 요금 인하도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기대됨
<미국 케이블사업자의 TPS 제공으로 인한 요금인하 효과>
구분 |
월 이용요금 (US달러) |
비고 | ||
개별서비스 |
케이블TV |
55.00 |
합계 144.95 |
TPS 제공시 개별 서비스 대비 18%의 요금인하 효과 |
ISP |
56.95 | |||
유선전화 |
33.00 | |||
TPS |
119.00 (개별합계의 82%) |
□ IPTV 일자리 창출 및 산업효과에 대한 면밀한 검토 필요
○ IPTV 산업 유발효과 전망은 연구기관에 따라 큰 차이 보임
- IPTV 사업전망은 아직 불투명한 단계
(단위 : 억원)
|
2006 |
2007 |
2008 |
2009 |
2010 |
2011 |
2012 |
총계 | |
ETRI연구 (2005) |
낙관적 전망 |
10,927 |
16,077 |
23,395 |
23,289 |
20,133 |
18,140 |
17,427 |
129,427 |
보수적 전망 |
7,846 |
10,630 |
13,118 |
11,196 |
9,576 |
8,928 |
8,768 |
70,665 | |
미디어산업포럼-MFI (2005) |
674 |
1,892 |
4,596 |
7,561 |
8,336 |
8,570 |
- |
31,629 |
○ 정부는 IPTV를 방통융합에 의한 새고용시장 창출의 대표적 미디어 산업으로 간주, 범정부적 차원에서 적극 진흥 육성 방침
- IPTV 도입이 IP기반의 뉴미디어 탄생임에는 분명하나, 이를 통한 투자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의 실질적 효과에 대해서는 보다 면밀한 검토 필요
※ 일부 전문가들의 ‘IPTV 일자리 창출효과 부풀리기’ 지적에 경청 필요
예) IPTV시장의 향후 5년간 산업효과 및 일자리 창출 전망에 대한 동일기관의 전망이 7개월 사이 1/3 수준으로 격감되어 장밋빛 허구가 우려된다는 언론보도
○ IPTV산업의 고용창출은 네트워크 부문보다 콘텐츠 부문에서 더 많이 발생
※ 기술집약산업이므로 고용창출에 한계 존재하며, 이미 전국적 네트워크·영업망을 구축한 Telco의 경우 추가인력의 필요성 적음
- IPTV 사업계획에 따르면 콘텐츠 부문보다 네트워크 분야에 집중 투자
|
케이블 |
KT |
하나로텔레콤 |
LG데이콤 |
향후 투자액 |
5조원 |
1조 7,000억 원 |
1조 6,007억 원 |
9,196억 원 |
콘텐츠 투자액 |
2조원 |
4,700억 원 |
5,026억 원 |
2,433억 원 |
○ IPTV의 성장은 ‘풍선 효과’ 일 수 있다는 우려 지적을 유의할 필요
- 케이블 TV와 IPTV는 동일 가입자를 놓고 제로섬 게임을 벌이는 경쟁관계
- IPTV로 인한 일자리 증가가 기존 방송 일자리의 감소로 이어진다면, 이는 실질적 고용창출 효과와는 거리가 먼 결과
※ IPTV의 도입은 ‘블루오션’의 창출이라기보다는 오히려 기존 유료방송시장을 ‘레드오션’화하는 결과를 낳을 수 있다는 지적
□ IPTV의 네트워크 편향으로 인한 PP 유인 요소 배재
○ 기존 PP들이 IPTV에 채널을 제공하지 않는 이유는, SO에 대한 ‘눈치보기’ 때문이라기보다는 다음과 같은 국내 시장특성에 따른 불가피한 선택임
(출처: KBI 연구보고서, 2008.8)
1) 통신사업의 콘텐츠 수익 배분 모델에 따르면 콘텐츠 제공 대가가 상대적으로 미흡하게 책정될 요지가 많음
2) 광고단가 산정시 도달률에 의한 가중치를 적용하기 때문에 두 곳의 작은 시장에 제공하기보다 도달률이 높은 단일 시장에 제공하는 것이 효율적
3) IPTV시장은 광고수입의 근간이 되는 시청률 조사 대상이 아니기 때문에, 기존 케이블TV 시장의 줄어든 시청률만큼 부가사업 및 광고 수익 하락
4) IPTV 판권 확보의 난점
※ 지상파는 주도권 확보를 위해 판권을 제공하지 않으며, 해외영화는 보안문제로 인해 IPTV 판권을 제한하고 있음
⇒ 위의 경제적 수익 논리를 고려할 때, 이에 대한 해결방안 없이 IPTV에 대한 콘텐츠 동등제공만을 강제할 경우 콘텐츠산업의 질적 성장은 요원
□ 상생을 위한 ‘공정경쟁’ 환경 조성 필요
○ 디지털케이블TV는 IPTV와 동일서비스일 뿐 아니라 일자리 창출에 있어서도 그에 못지않은 큰 역할 담당
- 채널수, VOD, 쌍방향 데이터 등의 서비스를 동등하게 제공
- 케이블 망 (HFC, Hybrid Fiber Coaxial)은 IPTV망 (FTTH, Fiber to the Home)과 유사한 수준의 네트워크 효과 가능 (데이터 전송의 용량 및 속도 등)
- DMC 고도화, H/E 투자, 망 고도화, 디지털 STB 등 디지털전환 비용으로 현재까지 총 2조 5,000억 원 투자 → 2012년까지 총 5조 이상 투자 예정
○ IPTV와 케이블TV가 공정하게 경쟁하여 ‘시장의 파이’를 키울 수 있도록 하는 여건 조성이 중요
'무한경쟁 > 케이블TV'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태광그룹, 편법 상속→비자금→케이블 사업 ‘눈덩이’ 의혹 (0) | 2010.10.16 |
---|---|
지상파 재송신 중단 사태 오나 (0) | 2010.10.01 |
CJ그룹, 헬로비전-미디어 CEO 교체 까닭은 (0) | 2010.07.15 |
케이블 방송 편성·매출 제한 (0) | 2010.07.15 |
방송사 실적분석 (0) | 2010.07.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