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야기/중국역사

중국사 연표

영원한 울트라 2011. 3. 8. 12:10

중국사 연표

 

 

시기

왕조

주요 사항

비    고

B.C.17세기~

B.C.1100년

(은)

 

B.C. 16세기 은왕조 성립

B.C. 1300년경 盤庚(반경)의 安陽 (안양)천도

 

신정정치(大城邑;대성읍

건설),

甲骨文(갑골문)

B.C.1110년~

  B.C.771

西周

(서주)

 

B.C.1100년경 주왕조 성립

B.C. 1063 周公(주공)의

              섭정,

B.C.841 共和時代(공화시대)

 

종법봉건제(제후, 경,

   대부, 사))

井田制(정전제)

B.C.771~

  B.C.403

春秋

時代

(춘추시대)

(東周)

동주 

 

B.C. 771 주의 동천(낙양    천도)

B.C. 594 魯(노)의 勞役租稅(노역조세) 폐지

B.C. 551 孔子(공자) 출생

B.C. 536 鄭子産(정자산)의

    成文法(성문법)

B.C. 403 三晋(3진 ; 한, 위, 조) 의  분립

   覇者(패자)의 시대

  (會盟(회맹)질서, 世卿貴族(세경귀족)정치,

   士계층의 활동,

   씨족질서의 해체,

   車戰(차전))

B.C.403~

  B.C.221

戰國

時代

(전국시대)

 

  변법운동(商鞅變法; 상앙변법, B.C. 359):

  제민지배체제(집권적 군주정치, 관료제도, 授田制(수전제),

  軍功爵制(군공작제), 법치주의, 군현제도)

 合縱連衡(합종연형)에 입각한 외교정책

  諸子百家(제자백가 ;유가, 묵가, 도가, 법가,

  병가, 명가, 음양가, 농가  등)

  직하의 학자,  양객성행(맹상군 , 신능군 등),

  步兵戰(보병전)으로의 변화,

  銅錢(동전)화폐(布錢      ( 포전)    錢   (    도전)         圓錢(원전)),

  秦(진)의 통일(한, 조, 위, 초, 연, 제)

B.C.221~

  B.C.206

(진)

 

B.C. 221 秦始皇帝(진시황제)의 통일(문자  ,  상   ,  도량형)

B.C. 209 陳勝,吳廣의 亂(진승, 오광의 난)

B.C. 206~202 楚9초)의  항우(項羽)와     漢(한)의  유방(劉邦) 간의 쟁패

  法術帝國(법술제국 ;

  아방궁,  萬里長城 (만리장성)축조, 도로망 정비)

B.C.202~

  A.D. 8

前漢

(전한)

 

B.C. 202 漢(한)의 성립

B.C. 157 吳楚七國의 亂(오, 초 칠국의 난)

B.C. 139 張騫의 西域行

        (장건의 서역행)

B.C. 130 漢武帝의 西南(한무제의 서남이)   정벌

B.C. 121 漢武帝의 

          흉노 정벌

B.C. 119 鹽鐵(염, 철)

          전매의 실시

B.C. 111 漢武帝의 南越

(남월)정벌

B.C. 108 漢四郡 (한사군) 설치

B.C. 97 司馬遷(사마천)『史記(사기)』완성

 황제지배체제(유교제국,

 太學(태학) 설립, 五經博士

 (오경박사)설치,

  任俠風 성행,

 冊封-朝貢(책봉-조공)

  체제 확립)

 인구 5,900만(A.D. 2년)

 8~23

(신)

  

8 王莽(왕망)의 황제 칭

 18 赤眉의 亂(적미의 난)

周禮(주례)정치,

王田制(왕전제), 등의 제도

 

시기

왕조

주요 사항

비    고

 23~220

後漢

(후한)

 

 23 후한왕조의 성립

 48 흉노의 남북 분열

 74 班超(반초)의 서역

                    정벌

 79 白虎觀(백호관) 회의

166 黨錮의 獄(당고의 옥)

184 黃巾의 亂(황건의 난)

208 赤壁大戰(적벽대전)

  예교사회(讖緯(참위)의 유행, 불교 전래, 호족경제 발전, 외척   ,   환관의 전횡, 종이 발명, 張衡(장형)의 渾天儀(혼천의))

   인구 5,600만(157년)

220~

265

(위)

221~263 蜀(촉)

222~279 吳(오)

 

 九品官人法(9품관인법),

  屯田制,(둔전제)  

  建安七子(건안칠자)

265~

316

西晋

(서진)

 

265 西晋왕조의 성립

280 吳의 멸망,

       중국의 통일

300 八王의 亂(8왕의 난)

307~312 永嘉의 亂

            (영가의 난)

 문벌귀족, 청담사상(竹林七賢;

 죽림칠현), 도교와 불교 성행,

 占果田制(점과전제)

316~

589

南朝(남조)

東(동진)

317~420

386 淝水之戰

     (비수의 전투)

 귀족정치(강남 개발, 寒門

 (한문) 진출)

 도연명(365~427), 왕희지

  (307~365), 顧愷之고개지;

  (345~411),

 <抱朴子(포박자)>

 < 文心彫龍(문심조룡)>,

 <文選(문선)>,

 <世說新語(세설신화)>

宋(송)

420~479

齊(제)

479~502

(양)

502~557

549 侯景의 亂(후경의 난)

陳(진)

557~589

北朝

(북조)

5胡 (호)

16國(국)

 

304~439 前趙(전조), 成(성), 後趙(후조), 前燕(전연),

前凉(전량), 前秦(전진), 後燕,(후연) 後秦(후진), 西秦(서진), 後凉(후량), 南凉(남량)

五胡(오호): 匈奴(흉노)      卑     (선비)        저    (  底)      

                                                                     강   (  羌) 갈(鞨)

376 前秦(전진)의 華北(화북) 통일

北魏

(북위)

 

439 北魏(북위)의

華北 통일

485 균전제 실시

525 육진의 난

   ∙東魏(동위)→北齊(북제)→隋(수)

   ∙西魏(서위)→北周(북주)→隋(수)

漢化(한화)정책(법난과 호불, 강     龍門石窟

   용문석굴)

구렴지와 天師道(천사도),

<洛陽伽藍記(낙양가람기)>

,<齊民要術(제민요술)>

589 ~

618

(수)

 

589 隋王朝(수왕조)의 성립

590 府兵制(부병제) 정비

595 鄕官(향관)의 폐지

610 楊玄感(양현감)의 亂(난)

 

九品官人法 (9품관인법)

      폐지,

大運河(대운하) 건설,

      科擧制(과거제) 실시, 高句麗 (고구려)

         원정 실패

인구 4,600만(609년)

618 ~

907

(당)

 

618 唐王朝(당왕조)의

             성립

626 태종의 貞觀之治

              (정관의 치)

690 측천무후의 무주혁명

712 현종의 開元之治

                (개원의치)

755 안록산,     사사명의 난

780 양세법 실시

875 황소의 난

율령정치(三省六部)

중국 불교의 성립

玄獎(현장)의 大唐西域記 (대당서역기)

이백과 두보

古文(고문) 신유학 운동

기미정책

 

시기

왕조

주요 사항

비    고

907~960

五代

十國

(5대

10국)

 907 朱全忠(주전충)의

         황제 칭

 916 遼(요;거란)의 발흥

무인정치(절도사  ,  

                                             번진체제)

목판인쇄

960~1126

北宋

(북송)

 

 960 송王朝의 성립

 982 西夏(서하)의 건국

1004 澶淵의 盟(천연의 맹)

1044 范仲淹(범중엄)의 士風(사  풍)개혁

1069 王安石의 改革

      (왕안석의 개혁)

1084 司馬光(사마광)의

      <자치통감>완성

1115 金(여진)의 건국

문신관료지배,

황제독재강화,

신, 구법당의 당쟁,

대장경  출판, 陵九淵(육구연)의 心學,(심학)

 <西遊記>,

 金(금)의 이중체제(孟安謀克制      (      맹  안 모 극 제     )     

郡縣制(군현제)),

全眞敎(전진교)의 출현

1127~

1279

南宋

(남송)

 

1127 남송의 부흥

1219 징기스칸의 西征(서정)

1200 朱熹(주희) 사망

1234 蒙古(몽고)가 金(금)을 멸함

1279 元이 南宋을 멸함(厓山戰鬪 ; 애산전투))

주자학 성립,

서민문화 발달

‘蘇湖熟 天下足(소호숙 천하족)’, 지폐(交子)의 발행,

지주전호제, 도시 발달,

史學 발달

1271~

1368

(원)

 

1271 元朝(원조) 시작

1274 日本(일본) 원정

1275 마르코폴로의

      世祖(세조) 알현

1351 홍건적 발흥

1364 朱元璋(주원장)의 자립

다민족복합사회, 몽골인중심주의, 색목인 우대, <수호전>,

<삼국지연의>,

동서교통 발달,

다루가치 ,   잠치 설치,

이슬람교와 라마교 전래

1368~

1662

 

(명)

 

1368 明왕조 성립,

       六諭(육유)반포

1405 鄭和의 南海

       (정화의 남해) 원정

1410 永樂帝(영락제)의

      타타르 親征(친정)

1421 北京(북경) 천도

1448 土木의 變(토목의 변)

1557 포르투갈人의 마카오

       거주허용

1573~1582 張居正

               (장거정)의 개혁

1582 마테오리치의 중국 도착

1602 李卓吾(이탁오)의

         獄死(옥사)

1631 李自成의 亂

       (이자성의 난)

 

이갑제,海禁     (해금)     閉關 (폐관)정책(왜구 활동),

銀(은)의 유통 확대,

일조편법 실시,

<永樂大典(영락대전)>,

<性理大典(성리대전)>,

학교제의 발달과 신사층 성립, 양명학 성립,

원  ,         강학활동,東林  , 復社(동림, 복사 ; 지식인의 정치활동),

 抗租  ,  抗糧,(항조, 항량)

 民變  ,  奴變,(민변, 노변)

 織傭(직용)의 變(변),

山西(산서)상인,

新安(신안)상인

인구 6,000만(1445년)

1644~

1911

1616 누르하치의 자립

1644 청의 중국 지배

1661 정성공의 대만정벌

1662 남명정권 멸망

1673 삼번의 난

1689 청-러시아의

      네르친스크조약

1717 地丁銀制(지정은제)

        의 실시

1727 淸-러시아의

         캬흐타조약

1782 <四庫全書(사고전서)>  의 완성

1795 白蓮敎徒의 亂(백련교도의 난)

 

팔기제, 만주봉금, 胡服(호복)과 변발의 강요, 문자옥, 기독교와의 典禮問題(전례문제),

 經世思想(경세사상 ; 黃宗羲(황종희), 顧炎武(고염무), 王夫之(왕부지)),

考證學(고증학) 발달,

均田均役法(균전균역법)의 실시, 湖廣熟, 天下足(호광숙 천하족)」,

<金甁梅(금병매)>, <儒林外史(유림외사)>, <紅樓夢(홍루몽)>>, <聊齋志異(요제지이)>

, 乾隆帝(건륭제)의 十全(10전)과 영토 고정

인구 1억 2,000만(1753년)

 

시기

왕조

주요 사항

비    고

1644~

1911

(청)

 

1840 아편전쟁(제1차 中英전쟁)

1842 南京(남경)조약

1850 太平天國의 亂(태평천국의 난)

1856 애로우호사건(제2차

        중,영전쟁)

1860 영,불연합군의 북경 점령,

북경조약, 總理衙門(총리아문) 설치

1862 同治中興(동치중흥)

1884 淸佛(청불)전쟁

1894 淸日(청일)전쟁

1898 戊戌新政(무술신정),

戊戌政變(무술정변)

1900 義和團(의화단)사건

1905 中國同盟會 (중국동맹회)결성

1911 武昌(무창)봉기(辛亥革命;신해혁명)

公羊學(공양학)의 新(신)전개,

비밀결사와 捻軍(염군)의 활동,

魏源(위원)의 <海國(圖志(해국도지)>,

 嚴復(엄복)의 <天演論천연론)>,

 中體西用論(중체서용론), 官督商辦(관독상판)의 洋務(양무)기업,

 新疆省(신강성) 지배 강화, 反기독교운동, 三民主義(3민주의),

과거제도 폐지,

입헌운동

인구 3억 6,800만(1911년)

1912~

1949

中華

民國

(중화민국)

 

1912 중화민국성립

1913 제2혁명(反袁世凱(반원세개)운동)

1915 日本의 21개 조항 요구, 袁世凱(원세개)의 帝制 (제제)기도

1916~1928

      軍閥(군벌)통치시대

1919 5․4운동, 중국국민당 결성

1921 중국공산당  결성

1924 第1次 國共合作(제1차국공합작)  (國民革命;국민혁명)

1926 국민혁명군의 北伐(북벌) 시작

1927 蔣介石(장개석)의 4.   .    ,12쿠데타, 국공분열, 남창봉기,

      팽배의 해륙풍 소비에트

1928 北伐 완료, 남경정부 성립

1931 滿洲事變(만주사변)

     江西소비에트정부 수립

1931 滿洲國(만주국) 성립

1934 中國共産黨의 2만5천리

       大長征(대장정)

1935 幣制(폐제)개혁,

       遵義(준의)회의

1936 西安(서안)사건 발생

1937 中日전쟁, 第2次 國共合作

1942 中共의 整風(정풍)운동

1944 民主同盟(민주동맹) 결성

1945 國共雙十協定

      (국공쌍십협정)

1946 政治協商會議

      (정치협상회의)개최,

內戰 (내전)시작

勤工儉學(근공검학)운동,

聯省自治(연성자치)운동,

민족자본의 발전,

新文化運動(신문화운동;陳

獨秀진독수, 魯迅)노신,

마르크스주의  도입,

白話文(백화문)운동 (胡適호적),

잡지 ≪新靑年(신청년)≫ 발행,

 疑古學派(의고학파),

國故整理(국고정리)

        운동,

問題(문제)와 主義(주의) 논쟁,

科學(과학)과 玄學

(현학)논쟁,

中國社會史 論戰(중국사회사 논전),

文藝(문예)의 民族形式(민족형식) 논쟁,

 新生活(신생활)운동

 

 

시기

국가

주요 사항

비  고

1949~

현재

中華人民共和國

(중화인민공화국)

 

1949 중회인민공화국 성립

1958 人民公社(인민공사) 출범

1959 티베트반란

1964 中蘇(중,소)대립 격화

1966 文化大革命 (문화대혁명)개시(~1976)

1971 UN 가입

1975 蔣介石(장개석) 사망

1976 朱恩來  (  주은  래    ),   毛澤東( 모택동)   德(주덕)  사망

1977 華國鋒 (화국봉) 집권

1978 鄧小平(등소평)

       체제 확립

1989 天安門 (천안문)사건

1993 江澤民(강택민) 체제

        성립,    

 韓中(한, 중)수교

2003 胡錦濤(호금도;후진타오)

 체제 성립

百花齊放(백화제방)

反右派투쟁(반우파

 투쟁),

大躍進(대약진)운동,

4개 現代化(현대화)

노선,

<河殤(하상)> 放映

(방영)

'중국이야기 > 중국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진나라의 몰락  (0) 2017.08.20
베이징의 역사  (0) 2008.06.22
중국  (0) 2007.11.19
중국의 전통 사상  (0) 2007.09.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