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야기/방송통신

중국방송의 역사

영원한 울트라 2008. 5. 28. 14:05

중국방송의 역사

 

목 차

Ⅰ . 머리 말 …………………………………………… 1

Ⅱ . 시기별 중국방송의 역사 ………………………… 2

1. 초기의 중국방송(1949년이전) …………………… 2 
  1) 라디오 방송의 탄생 …………………………… 2 
  2) 뻬이양정후우(北洋政府)의 중국방송 ……………… 2

2. 국민당 정부의 중국방송 ………………………… 3 
  1) 중·일전쟁 이전(1928∼1937년)의 방송 ………… 3 
  2) 중·일 전쟁기(1937∼1945년)의 방송 …………… 5 
  3) 중·일전쟁 이후(1945∼1949년)의 방송 ………… 8

3. 공산당 정부의 중국방송 ………………………… 9 
  1) 과도기 (1949∼1956년) ………………………… 10 
  2) 비약기 (1957∼1966년) ………………………… 12 
  3) 암흑기 (1967∼1977년) ………………………… 14 
  4) 개혁기와 뉴미디어 (1977∼현재) ……………… 15

Ⅲ . 맺는 말 …………………………………………… 19
※부록 - 방송연대기 ……………………………… 20
※참고문헌 ……………………………………… 21


Ⅰ. 머리 말

중국의 방송사업은 서방국가의 경우처럼 일정한 하부구조의 성숙에 따라 방송사업이 출현한것과는 달리, 강력한 무력을 가지고 중국을 침략하는 서방 세력에 의해 중국에서의 세력 확장 및 이익의 획득을 달성할 목적으로 19세기 말부터 도입되었다. 따라서 초기의 중국 방송사업은 외국인의 영리목적으로 그리고, 중국인의 이른바 '개화'의 목적으로 탄생된 산물이라고 할 수 있다.

1911년 중화민국이 탄생한 후 거의 20년 동안의 국내분열 상황하에서 방송사업은 국가의 선전도구로 발전되었으며 자국 인민 선전과 외국인을 향한 국제 선전의 유력한 수단으로 변모하였다. 중일전쟁과 국공내전을 겪으면서 국민당이나 공산당은 모두 라디오 방송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격렬한 방송 심리전을 벌였다. 먼저 정권을 장악한 국민당은 거금을 투자하여 강력한 방송망과 함께 동아시아 최대 규모 방송국인 중앙라디오방송국(中央廣播電臺)을 설럽했으며 재정적으로 취약했던 중국 공산당도 적극적으로 방송매체를 장악하게 되었다. 1937년 이후 중국의 상공에는 각 정권의 전파가 교차하며 끊임없는 방송 전파전을 진행했던 것이다.

정치의 불안정과 국가의 엄격한 통제에 따라 언론의 자유는 위축될 수 밖에 없었으며 일반 민영 방송국의 존립 기반이 무너지는 것을 볼 때 중국의 방송사업은 생성 당시부터 권력계층을 위해 봉사하는 선전도구의 한계를 벗어나지 못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러한 현상은 1949년부터 중국 공산당이 중국을 통치하기 시작한 후에도 계속 남아있게 되었다. 중국의 방송매체는 중국에 들어온 그 순간부터 정권에 부속하는 운명을 벗어나지 못했던 것이다. 그 원인은 물론 근대화와 산업화의 현상으로 인해 피할 수 없는 것이라고 할 수 도 있겠으나 중국 자체의 특성, 즉 광활한 영토, 높은 문맹률, 다양한 민족과 문화 등은 정치세력 집단으로 하여금 방송매체의 커뮤니케이션 위력을 간과할 수 없게 하였다. 따라서 방송은 중국의 국가 통합과정에 언제나 중요한 중개자의 역할을 하였으며 서방언론의 제4부같은 역할이 없음은 물론 일반적 환경감시나 오락기능보다는 정권의 강력한 정치선전의 기능을 주로 행사하게 되었다.

본글에서는 중국의 방송이 정권에 의해 좌우되어 왔고 1949년은 현대 중국 정권교체의 분수령으로 볼 수 있기 때문에 중국 방송 역사의 시기구분을 1949년 이전과 이후의 국민당 정부 치하의 시대와 공산당 정부 치하의 시대로 구분하여 정리하고자 한다.


Ⅱ. 시기별 중국방송의 역사

1. 초기의 중국방송(1949년이전)

1) 라디오 방송의 탄생

라디오 방송사업이 중국에 상륙한 것은 외국인에 의해서였다. 중국에 방송국을 세운 최초의 외국인은 미국의 신문기자인 E.G.Osbom이다. 그는 쩡이라는 화교부상의 재정적인 도움을 받아 무선 수신 시설을 판매하는 「上海中國無線電公司」를 설립하면서 사업의 판촉을 위해 1922년 가을 상하이의 광동로에 라디오 방송국을 최초로 설치하였다. 그러나 라디오나 방송의 품질 불량 등이 원인이 되어 개국3개월 만에 재정난으로 문을 닫았다. 그후 Osbom은 미국인에 의해 만들어진 China press(大陸報)와 함께 1923년 1월에 다시 상하이에 라디오 방송국을 설립하였다.(※1922년보다 1923년을 최초의 중국 라디오 방송국 설립년도로 보는 사람이 많다)

그러나 당시 「뻬이양정후우」(北洋政府)의 통신자재 수입 불허로 Osbom의 라디오 방송국은 두 번째 문을 닫고 말았다. 비록 외국인 Osbom이 만든 라디오 방송국은 단명으로 모두 문을 닫게 되었지만 중국인에게 새로운 방송매체인 라디오를 처음 소개하였으며 이로 인해 그 당시 많은 사람들이 방송에 대해 관심을 갖게 되었다.

그후 상하이에서 미국 신후우양항(新孚洋行)이 방송국을 설립했지만 재정난으로 문을 닫았으며 1924년 4월에 미국 카이루어양항(開洛洋行)이 세 번째 라디오 방송국(KRC)을 설립하였다. 그러나 1929년 경영난으로 결국 문을 닫게 되었지만 유일하게 1년이상 영업한 라디오 방송이므로 초기의 중국 라디오 방송사에 중요한 영향을 가져 왔다.

2) 뻬이양정후우(北洋政府)의 중국방송

1924년에 北洋政府가 방송 관리법인 「주앙용 꾸앙 붜우시엔 띠엔지에서 우지산 싱탸오리」(裝用廣播無線電接收機暫行條例)를 공포하여 상업방송국의 설립이 허락되어 방송의 대상자가 외국인에서 중국인으로 전환되었으며 상하이지역의 라디오 소유자 증가에 따라 상업방송국의 경영과 편성정책의 방침도 변모했다.

상하이 이외의 지역으로는 1925년 일본이 통치하는 따리엔(大連)과 타이완에 일본 라디오 방송국이 개설되었으며 일어와 중국어로 중국 정치자에게 방송하였다. 상하이에 있는 방송국과는 달리 일본의 정치선전용의 목적을 가졌다.

외국인들이 잇달아 중국에 라디오 방송국을 개설하는 것을 보고 중국의 뻬이양정후우(北洋政府)도 라디오 방송사업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되었다. 1925년에 북양정부 교통부는 뻬이징(北京)과 티엔진(天津)에 무선을 이용해 음악과 뉴스를 전달하는 라디오의 시험방송을 시도하지만 정치의 불안정으로 인하여 곧 중지되었다. 그후 당시 만주를 지배하던 휭시쥔화(奉系軍閥)가 소련인으로부터 하얼빈에 있는 무선시설을 인수했고, 이들 시설을 이용하여 중국인에 의해 설립된 최초의 라디오 방송국 하얼빈 꾸앙붜우시엔띠엔타이를 설립하였다. 이듬해 휭시쥔화가 지배하게 된 만주지역의 전화 행정기구인 동북장거리전화관리처(北京無線電長送電話監督處)가 북경과 천진에 각각 라디오 방송국을 개국하였다. 한편 1927년 3월에 한 광동 상인이 그가 판매하는 무선시설의 매상을 올리기 위해 상하이에 중국인이 만든 최초의 상업방송국 <신신꾸앙붜띠엔타이>(新新廣播電臺)를 창설하였다.

초기의 중국 라디오 방송국들의 개국은 방송 자체가 목적은 아니었고 거의 외국상인이 무선시설을 판매하기 위해 상업수단으로써 시작한 판촉의 산물이며 방송국들은 대부분 상하이에 위치하고 있었다. 이것은 상하이가 1920년부터 중국의 상업, 공업과 문화의 중심으로서 중국 본토의 부유한 계층과 외국상인이 제일 많이 사는 곳이었기 때문이다. 특히 초기에 라디오의 가격은 매우 비쌌기 때문에 일반 서민층이 부담할 수 없어서 청취자가 거의 외국상인, 중국의 관료와 부유한 사람들에만 제한돼 있었다. 따라서 중국 초기의 라디오 방송이란 상업목적을 띠는 소수계층의 사치품일 따름이며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상업활동이었다. 또 방송을 통해 서양의 생활습관 그리고 가치관이 소개되었으며 중국인의 현대 문물에 대한 무지를 깨우치면서 서방 국가의 '개화'를 받아야 한다고 하는 문화 침투의 도구였다고 할 수 있다. 특히 '반식민지'상태의 당시 중국에서는 정부에서 민간에 이르기까지 이러한 외세의 침투에 대해 거의 속수무책이었다. 그후 서방열강은 중국에서 자국의 세력을 더 확장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중국 정부와 중국의 라디오 방송국을 '共管'(공동관리)하는 작업도 시도하며 꾸준히 중국을 식민지화 하려했다.


2. 국민당 정부의 중국방송

1) 중·일전쟁 이전(1928∼1937년)의 방송

(1) 국민당 정부의 방송
1928년에 중국 국민당은 중국을 통일하고 수도를 뻬이징에서 난징(南京)으로 이전하였다. 라디오 방송국의 설치는 정치선전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는 점을 인식하여 그 당시 국민당의 원로인 츠언꾸어후우(陳果夫), 따이지타오(戴楚滄) 등은 "라디오 방송은 주의(主義)를 선전하는 무상(無上)한 무기"라고 주장하면서 라디오 방송국의 신설을 강력히 제창하였다. 그때 츠언꾸어후우(陳果夫)는 은 1만 9천 량을 모으고 상하이의 미국 開洛洋行(Kellog switchboard and supply company)으로부터 500W의 중파송신기를 구입해 1928년 8월에 난징(南京)의 띵지아챠오(丁家橋)라는 곳에서 정식으로 XKM(그후에 XGOA로 바꾸었다)의 호출로 방송하였다. 이 방송국의 정식이름은 중국 국민당 중앙집행위원회 무선방송국(中國國民黨中央執行委員會無線電臺)이라는 긴 이름이며 약칭 중앙라디오방송국(中央廣播電臺)이라고 하였다.
중앙라디오방송국(中央廣播電臺)은 그 설립의 목적이, 짙은 대국민 정치선전의 색채를 갖고 있으며 중국 국민당에 의해 통제를 받았으니 당이 경영하는 당영 방송국이라고는 하겠지만 국민당이 국내정치 모든 면에서 깊이 관여하여 당이 곧 정부와 국가라는 중국의 정치적 특성을 띠므로 이 방송국은 국영방송이라고 할 수 있다.

국민당 정부는 중일전쟁이 발발하기 전에 난징의 중앙라디오방송국(中央廣播電臺)이외에 주요 도시에 20여 개의 지방 방송국을 설립하였다. 이들 국영 방송국의 설립과 방송망의 확대에 따라 국민당은 막강한 정권의 정치선전망을 구축하게 되었다. 특히 1930년대 초기부터는 공산당과의 전쟁 및 1934년에 고취하는 <新生活運動>의 촉진 등에 이들 국영 방송국을 통해 철저히 대국민 선전을 하였다. 이와 같이 국민당 정부의 라디오 방송에 대한 인식은 정부의 관보의 기능으로써 과거의 <띠빠오>(邸報)의 역할과 기능처럼 중앙정부가 국민에게 '정령전달', '교화'하는 "위에서 밑으로"의 일방적인 커뮤니케이션 도구의 역할에서 아직 벗어나지 못했다. 특히 당시 정권의 국민적 기반이 확실하지 않은 국민당으로서는 방송매체에 대한 당의 국가독점이 당연한 일이라고 여겼고 이 때문에 민영 방송국에 대해서도 정부의 통제를 자연 강화하게 되었다. 중국의 통일로 민영 방송국이 양적으로 크게 늘어났다고 하나 방송의 운영과 편성 등 그 경영의 내용상으로는 오히려 국가로부터 간섭을 더 많이 받게 되었다. 따라서 국민당이 정권을 장악하게 되는 1949년까지 중국의 방송은 국가 권위주의적인 방송제도하에 통제된 방송이라고 할 수 있겠다.


(2) 민영방송국
중국에서 본격적인 민영방송 발전은 1928년 8월 국민당 정부가 민영 방송통신법에 따라 '국영'(官辦)의 방송국 이외에 민간의 상업 방송국들이 우후죽순처럼 속출하였다. 1930년대 초기에는 이미 대부분의 도시에 민영의 상업방송국이 생겨났으니 이 때 상업 방송국의 수가 무려 70여 개에 달했으며 그 중의 절반은 상하이에 집중되어 있었다. 이것은 당시 상하이가 외국과 내국자본이 집중하는 중국 최대의 상업도시와 중심지였기 때문에 라디오 수신기의 생산지로서도 중국 최대의 도시이고 자연 민영 상업 방송국의 최적의 도시가 되었기 때문이다.

중국인에 의해 설립된 중국 민간방송국외에 상하이의 뻬이징에는 외국인에 의해 설립된 외국인 민간 방송국도 있으며 특히 상하이에 가장 많았다. 과거의 불평등조약에 의해 맺어진 협정에 의하면 중국 정부는 외국 관할지역을 관리할 수 없으므로 소재 방송국에 대해서도 중국 정부는 전혀 관여할 수 없었다. 이러한 정치적인 치외법권적인 상황을 이용해 중국 정부의 간섭으로부터 벗어나려는 방송국 설립자들로 상하이의 외국 조계지역은 민영 방송국의 온상이 되었다. 그러나 국민당 정부는 전국의 정권을 장악하자 이런 청나라 말기에 시작된 주권상실의 상태를 더 이상 받아들이려 하지 않았다.

1932년 중국 정부의 교통부는 <종후아민꾸어띠엔신화꿰이따깡>(中華民國電信法規大網)이라는 통신법을 새로 제정하였다. 그러나 비록 외국인 방송금지법을 공포하기는 했으나 당시 여전히 강한 영향력을 행사하던 외국 열강(특히 일본)의 세력과 국공내전 등의 원인으로 이러한 법은 제대로 집행되지 못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다음 해인 1933년에 교통부는 라디오 방송국의 등록제를 실시하여 방송의 질과 주파수를 통제하였으며 1934년에 이르러서는 라디오 방송국의 신설을 금지하였다. 이러한 현상을 볼 때 중국에서는 방송을 생활과 사회적 커뮤니케이션의 수단으로 보다는 국가나 정권의 정치선전의 유용한 수단으로 여겨졌으며 따라서 민영 방송국이 허용됐지만 그 방송국들도 오직 국영 방송국 기능의 장식품일 뿐이었다.

민영방송은 광고가 주요 재원이었으며 현대의 상업 방송 특성과 같이 청취율을 높이기 위해 프로그램을 매우 선세이셔널한 내용을 위주로 편성하였다.

중국의 민영 방송은 1932년 9.18사변 이후 외국의 침략 뿐만 아니라 국민당과 공산당의 갈등으로 내분이 치열하였으며 이러한 외우내란을 겪으면서 서안사변이 끝난 후 국민당은 방송의 유용성을 크게 깨닫고 그 통제와 장악의 필요성을 절감하여 1936년부터 1937년까지 수차에 걸쳐 여러 방송관리법들을 공포하고, 방송을 관리 감독하는 기구를 설립하였으며, 국영 방송국들을 많이 신설하였다. 또한 민영 방송국의 방송내용에 대한 심사와 감청의 작업을 강화하였다. 방송 내용의 저질화, 방송 주파수의 중첩, 국공내전, 날로 악화되어 가는 일본의 무력침략 등을 보면서 국민당 정부는 라디오 방송을 그대로 좌시하여 방치할 수 없다는 결정을 내리게끔 한 것이다. 이에 따라 중앙라디오방송국(中央廣播電臺) 이외에 전국 각지에 국영의 지방 라디오 방송국을 잇달아 신설해 강력한 선전방송망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또한 방송사업을 관장하는 중앙방송 지도위원회(中央廣播事業指導委員會)의 감독을 받으면서 전국의 방송사업을 통제하도록 하였다.

1928년 중앙라디오방송국이 설럽된후부터 1937년 중일전쟁이 발발할 때 까지의 10년동안 일본이 점거하고 있던 만주지역을 제외한 국민당 통치지역에 78개의 국·민영 방송국이 있었으며 그중 민영 방송국이 55개로 그 절반을 차지하고 있었지만 총 송출력이 7㎾로 이는 전국 방송의 총 송출력 123㎾의 5.4%로 당시의 중국라디오방송은 국영 방송국이 지배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2) 중·일 전쟁기(1937∼1945년)의 방송

(1) 국민당 통치지역
전쟁 초기에 중국의 대부분 국토-동북지방과 동남연해지방-가 일본인의 손에 함락됨에 따라 중국의 방송시설도 많이 파괴되었다. 1937년 11월에 일본군이 당시의 중국 수도인 난징(南京)을 포위하여 공격함에 따라 11월 23일에 난징에 있던 중앙라디오방송국은 방송을 할 수 없게 되었다. 중앙라디오방송국은 난징에서 武漢市로 철수하여 250㎾의 단파 방송국으로 바꾸고 XGA라는 호출로 다시 무한시에서 국내, 국외에 단파 방송을 하였다.

1938년 국민당 정부가 중국의 수도를 四川省의 츠응칭(重慶)으로 옮기자 중앙라디오방송국도 그해의 3월에 무한시에서 츠응칭으로 옮겼으나 송신력이 전쟁 이전의 75㎾에서부터 10㎾로 크게 떨어졌다. 중앙방송 지도위원회는 중국의 국제 선전을 강화하기 위해 중앙라디오방송국의 시설 일부분을 동원하는 한편 영국에 의해 제공받은 방송장비로 1939년 2월에 XGOY라는 호출로 (약칭 VOA) 즉 중국의 소리라는 국제 방송국을 설립하였다. 이 방송국이 중국 최초의 국제 방송이다. 대상지역은 유럽, 북미, 소련동부, 중국만주, 일본, 동남아 등 6지역이었으며 영어, 독어, 불어, 소련어와 일어 등 외국어 및 중국 표준어와 12종의 중국 지방어로 방송하였다. 그 이외에 전쟁중에 군대의 정훈과 사기양양을 위해 군방송의 필요성을 인식함에 따라 1942년 츠한칭에 <軍中之聲>이란 군전용 방송국을 만들어 군인을 대상으로 한 선전과 일본군을 향한 심리전의 방송을 수행하였다.

전쟁 후기에 미국 군대가 전쟁 동맹국의 일원으로 참전하여 중국 국내에 들어오고 꿰이란(桂林), 루시엔(盧縣), 츠엉뚜(成都) 등지에 주둔하는 미군에게 오락을 제공하는 미군전용 방송국들이 만들어졌다. 이렇게 시작된 방송국들이 중국 최초의 미군 방송국이다.

전쟁중에 국민당의 당영 방송국들은 당시 수억 중국 국민의 정신적 식량이었으며 특히 일본군에 함락된 지구의 중국 국민들에게 방송은 커다란 정신적인 위안이라고 할 수 도 있었다. 1940년 초기엔 국민당 정부의 대규모 모병운동은 방송을 통해 전국으로 전파되어 수십만의 청년들이 츠응칭으로 몰려갔던 것은 당시 방송의 대국민 선전의 위력을 입증하는 것이다. 그러나 국민당과 공산당의 암투로 인해 국민당의 방송국들이 단결과 항일을 선전하면서 동시에 공산당에 대한 반대를 호소하는 내용을 방송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현상은 이 시기 국민당 정부의 국영 방송국의 '양면성'을 보여주는 것이었다.


(2) 일본점령지역
중국에서 중일전쟁이 진행되면서 일본의 점령지역에 있는 중국의 국영 방송국들은 일본점령군 수중으로 들어가서 일본방송으로 되었고 민영방송국들은 문을 닫게 되었다. 일본 점령하의 상하이 민영 방송국은 대부분 외국 조계 지역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상하이가 일본군의 점령하에 있었어도 어렵게나마 몇 년동안 활동을 계속 할 수 있었다.

1937년 11월 상하이가 일본 군대에 의해 점거될 때까지 30여 개의 민영 방송국이 있었다. 그중 예메이(業美)방송국와 후아메이(華美)방송국은 일본이 점령하자 스스로 방송을 중지함으로써 일본에 대한 '무언의 항의'를 표시하는 경우도 있었지만 대부분의 이 지역 민영 방송국들은 점령하에서도 방송을 계속하였다. 1938년 일본 점령군은 상하이방송감독처(上海廣播電臺監督處)를 만든 후 등록제를 실행하여 민영 방송국을 엄격히 통제하려 했다. 이렇게 되자 대부분의 민영 방송국들이 모여 긴급회의를 갖고 일본 점령군의 무리한 요구를 수용할 수 없다는 집단적 결의를 내리고 방송중지에 들어갔다. 사태가 심각해지자 영미 당국이 중개에 나서 양측이 일정한 양해를 하게함으로써 그 위기가 완화되었다. 즉 일본측은 민영 방송국이 일본이 아닌 조계 당국에 등록하는 것을 허용하되 일본에 불리한 선전 내용의 방송을 금지한다는 쌍방합의를 이룬 것이다. 이러한 협정에 따라 상하이의 방송사업은 방송중지의 운명을 피할 수 있었지만 일본 점령구에서 계속 생존하기 위해서는 프로그램의 내용은 모두 정치와 젼혀 무관하게 되었으며 저질의 오락프로그램을 위주로 하는 방송을 하였다. 그러던 가운데 1941년 12월 태평양전쟁이 발발하는 동시에 일본군은 이 두 개의 외국인 조계마저도 점거하고 28개의 중국인이 경영하는 민영 방송국을 패쇄하는 동시에 적의 재산이란 명목하에 외국인의 이름을 차용한 사실상 중국인에 의해 운영되는 방송국들을 압수하였다.

일본이 상하이의 조계를 점령한 후 상하이에서 계속 방송할 수 있는 방송국은 일본인과 극단의 친일파에 의해 운영된 방송국을 제외하면 몇 개의 이탈리아, 독일 및 소련의 방송국이었다. 이탈리아와 독일은 2차대전 당시 동맹국으로서, 소련은 1941년 채결한 <日蘇中立協約>의 구실로 방송 활동을 계속 할 수 있었다.

소련은 공산당 사상의 선전을 강화하기 위해 「時代」라는 잡지와 「수리엔후성」이라는 방송국을 설립하였다. 수리엔후성은 유일한 반 파시스트 논조를 가진 외국 방송국이라고 할 수 있으며 1945년 8월에 소련이 일본에 대해 선전포고를 할 때 까지 상하이에서 계속 방송하였다.


(3) 공산당의 방송국
매체를 통한 당의 정치이념을 민중에게 전달하는 것은 공산당이 일관된 신념이다. 중국 공산당은 방송국을 설치하려 했지만 국민당과 일본인의 봉쇄로 실패했다.

1940년 저우언라이(周恩來)가 병을 치료하러 소련에 갔다 오는 길에 낡은 라디오 송신기 한 대를 가져왔으며 바로 이 소련으로부터 지원받은 송신기 한 대가 중국공산당 방송사업의 막을 올리게 한 것이다. 그러나 본격적인 공산당의 방송은 여러 어려운 환경을 극복하고 1940년 12월 30일 당시 공산당의 본부인 옌안(延安)에 중국 공산당에 의해 설립된 방송구인 옌안신후아방송국(延安新華電臺)이 XNCR(New Chinese Radio)의 호출로 정식으로 방송에 들어갔다. 이 방송국을 통신사인 신후아서(新華社)의 廣播管理部에 의해 관리되며 매일 2시간을 방송하였고 방송된 뉴스는 모두 신후아서가 제공하는 것이었다.

1943년 봄 방송시설의 보충과 공급의 어려움으로 인해 잠시 방송을 중단했고 1945년 8월에 다시 방송을 시작하였다.


3) 중·일전쟁 이후(1945∼1949년)의 방송

(1) 국민당 정부의 방송
중일전쟁이 종결 하자마자 국민당은 중앙라디오방송국을 통하여 일본인에게 함락되었던 지역의 방송국들을 보호하자고 전국에 호소하였다.

1946년 5월 중앙라디오방송국이 난징으로 복귀한 후 1년동안 국민당 정부에 예속된 방송국은 41개가 있었고 총 송신력도 421㎾에 달하였으며 약 백만개의 라디오가 보급되어 있었다. 전후 국민당 정부는 라디오방송국의 설립규칙을 선포하여 이 규칙에 따라 민영방송국의 설립을 허락하였지만 설립, 수량, 분포, 송신력 및 방송내용에 대해 엄격하게 제한하였다.

1946년 8월에 上海電信部는 상하이의 54개 민영 방송국을 폐쇄하였다. 이후로 중국의 민영방송은 경영란의 문제로 방송의 내용이 점차 빈약해져 쇠퇴의 기로에 놓이게 됐다.

중국에 소재한 외국 방송국도 방송중지의 명령을 받았으며 소련과 중국 공산당과의 밀접한 관계로 인하여 수리엔후성 방송국은 맨 먼저 문을 닫았다. 그후로는 국민당 정부의 친미와 반공의 정책노선으로 미국 군용 방송국이 유일하게 외국방송으로서 활동했다.

1948년이후 중국공산당의 승리로 인해 국민당 통제하의 국영 방송들도 공산당으로 넘어갔으며 1949년 1월에는 중앙라디오방송국의 주요 장비들을 대만으로 이송하는 동시에 국민당 정부도 대만으로 철수했다. 이때부터 중국대륙의 방송사업은 공산당 정권으로 넘어갔다.


(2) 공산당의 방송
1945년 8월에 옌안신후아방송국(延安新華電臺)은 다시 방송을 시작했다. 당시 마오쩌뚱(毛澤東) 등 공산당의 지도자들의 중일전쟁 때의 선전경험에 따라 전후 중국 공산당은 그의 세력범위(해방구, 陝西省 일대)의 지역에 잇달아 방송국을 신설하였다. 1946년 5월 '국공내전'이 시작하기 바로 직전에 공산당은 선전 중심기관인 신후아서(新華社)를 조직편성하였으며 원래 방송편집업무를 담당하던 신후아서의 위옌꾸앙붜쭈(語言廣播組)를 위옌꾸앙붜뿌(語言廣播部)로 확대승격시켜 방송을 통한 선전전을 강화하였다. 방송의 내용은 주로 국민당 정부에 대한 비판, 중앙당이 발표하는 중요한 발언 및 해방구의 동정등으로 구성되었다.

1947년 9월에 옌안신후아 방송국은 국민당의 공격을 피하기위해 와야오빠으로 이전하고 산뻬이신후아 방송국으로 개명하였다. 방송시간을 늘리고 영어 뉴스 방송을 시작했으며 공산당의 국제방송은 이때부터 시작된 것이다.

전국 각지에서 군사적 승리를 거두면서 중공 당 중앙은 새로 해방된 도시에 소재한 원래의 방송국과 방송 종사자를 처리하기 위해서 1948년 11월에 해방지역방송에 대한 정책인 <對新解放城市原有之廣播電臺及其人員的政策協定>을 공포하였으며 앞으로의 공산 중국 방송사업 청사진을 제시하였다.

이 협정은

(1)해방 도시의 국민당 방송국을 모두 접수한다. 접수된 방송국은 인민방송국(人民廣播電臺)으로 되며 이전의 국민당 시절에 종사했던 방송인에 대해서는 그들을 개별적으로 심사, 평가하여 채용, 재훈련, 해고 등 조치를 취한다.

(2)중국인이 경영하는 민영 방송국에 대해서는 일률적으로 군사관리회가 관리하게 되며 외국 자본이나 외국인이 만든 방송국은 모두 방송을 중시하며 민영의 단파방송국도 방송을 중지하여야 한다.

(3)新中國의 방송사업은 모두 국영이고 민영 방송국의 설치는 일체 금한다.


이 해에 공산당 군대는 잇달아 국민당의 수중에서 방송국들을 접수함으로써 공산당의 인민 방송국의 수는 크게 늘어났다.

1949년 3월 25일 공산당의 산뻬이신후아방송국은 중공 당 중앙과 함께 뻬이징으로 이전하였다. 이날부터 옌안신후아 방송국은 뻬이핑신후아방송국(北平新華電臺)-현재의 중앙인민라디오방송국(中央人民廣播電臺)의 전신-으로 명칭을 변경하고 전국의 중심 방송국이 되었다. 또한 원래의 뻬이핑인민라디오방송국(北平市人民廣播電臺)도 뻬이징인민라디오방송국(北京市人民廣播電臺)의 새 이름으로 바꾸었다. 6월 5일에 중공 당 중앙은 방송 통제기구의 확대 개편을 발표했다. 이 기구 개편의 발표에서 중국 공산당은 기존의 語言廣播部를 중앙 방송관리처(中央廣播事業管理處)로 확대하여 전국의 방송사업을 관리 및 지도하는 임무를 담당토록 한다는 것을 밝혔다.

그후 전쟁의 승리에 따라 공산당 군대는 각 지방의 방송국을 접수하여 人民電臺(중국공산당의 방송사업은 모든 인민이 소유하는 것으로 인민을 위해 봉사해야 한다는 논리에 의해 라디오 방송국을 人民電臺라고 부르고 라디오 방송은 人民廣播라고 부른다)라는 이름과 체제로 바꾸어 다시 방송하였다.


3. 공산당 정부의 중국방송

공산당 정부시대의 방송의 시기 구분은 1949년 10월 1일 중화인민공화국이 건국된 이래로 현대까지 4단계로 나누어 볼 수 있다.

(1) 1949년 ∼ 1956년의 과도기

(2) 1957년 ∼ 1966년의 비약기

(3) 1966년 ∼ 1977년의 암흑기

(4) 1977년 ∼ 현재의 개혁기

첫 번째의 과도시기에는 공산당 정부가 정권을 장악한 지 얼마 안 되기 때문에 과거 국민당 정부시대의 방송제도가 아직 잔류하고 있었으므로 공산당 정부에게는 과거 국민당의 낡은 구조를 청산하고 새 방송체계를 만드는 작업이 제일 중요한 정책 이슈였다. 두 번째의 비약시기에는 공산 중국의 사회와 경제체계가 이미 정상궤도에 올랐으며, 따라서 공산당 정부가 방송을 적극적으로 발전시키는 작업이 정책의 과제였다. 현재 중국 방송의 체계와 제도는 거의 이 시기에 확립되었다. 세 번째의 암흑시기에는 전중국에 심대한 영향을 끼친 문화 대혁명이 발발하였고 중국 방송은 혼란의 방송, 또는 전반적으로 매우 정체한 방송이었다. 네 번째의 발전시기에는 문화 대혁명시대의 극좌 정치노선에서 벗어나 보다 실용적인 정치노선을 택한 방송의 시대였다. 이 시대에 들어서면서 중국의 방송은 전 시기의 혼란과 폐단을 없애고 보다 다양하고 덜 이념적이고 질이 높은 방송 프로그램을 제작하려고 노력했다. 한편 이 때에 방송은 국민을 위해 봉사하는 '인민성'이 당에 복종하는 '당성'을 능가해야 한다는 개혁의 주장이 나타나 중국 방송의 새로운 논쟁이 되기도 했다.


1) 과도기 (1949∼1956년)
과도기의 첫 3년간 공산당 당중앙이 전쟁으로 파산된 국민경제를 회복하기 위해 이른바 『신민주주의로부터 사회주의에로 전환하는 정책』을 추진하는 시대의 방송이다.

1949년 9월 29일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中國人民政治協商會議)는 공동 강령을 발표하였는데 강령 제19조에서 방송 발전계획을 명확히 명시하고 있다. 건국 초기부터 공산당 정부는 방송에 대해 일련의 개편과 촉진의 정책을 추진했다. 1949년 10월 1일 중화인민공화국이 건국을 선언한 바로 그날 중앙 방송관리처(中央廣播事業局)로 바뀌고 전국의 방송관리와 건설을 관장하였다. 이 새로 바뀐 중앙 방송관리국은 신설된 종합적 언론관리기구인 新聞總署의 한 산하기구이다. 1952년 2월에 <新聞總署>가 없어진 이후에는 방송은 <政務院文化敎育委員會>의 산하기구가 되어 그의 감독을 받게 되었다.

1952년 민영방송국은 모두 중국 정부에 의해 접수 되었고, 이때부터 중국의 방송은 모두 국가에 의해 운영되는 국영방송이고 중국의 방송제도는 국영제도가 되었다.


(1) 방송프로그램의 개선
중국 정부는 방송의 새로운 체계를 정비하면서 방송의 구체적인 편성 제작 임무에 대해서도 규정하였다. 방송관리국을 설립한 다음 해인 1950년에 방송관리행정 담당기구인 신원쫑수(新聞總署)는 방송선전의 세 가지 임무를 규정하였다. 즉 뉴스 및 정령의 전달 활동, 사회교육 활동, 문화오락 활동이다. 그리고 이러한 활동을 하는 방송종사자에게도 "자기힘으로 걷는다"(學會自己走路)라는 새로운 행동원칙을 제시했다. 즉 방송의 자율적 활동을 추구하는 것이다. 그래서 방송이 더 이상 그전처럼 신문사와 통신사에만 의존해서 방송하지 말고 방송사 스스로의 힘으로 방송 내용을 제작, 경영하도록 하였다. 자기 힘으로 걷는 것을 배워야 한다는 뜻은 방송이 과거와 같이 오직 신문사와 통신사가 제공하는 뉴스와 자료에 의존하는 방송이 아니라 방송사 자체로 프로그램의 소재를 취재하고, 편성하며 프로그램의 방향과 내용의 계획과 제작 등을 스스로 업무에 직접적으로 그리고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원칙에 따라 각 방송국들은 자체의 뉴스 프로그램을 강화하고 방송의 시간과 횟수도 증가시켰다. 이렇게 시작된 뉴스 프로그램 중에 중요한 것으로 中央電臺의 <全國聯播>, <新聞報摘>와 <國際時事> 등이 있다.

이 시기의 중국방송의 제일 중요한 역할은 국민에 대한 선전교육이다. 한국전쟁 시기인 1950년부터 각지의 방송국은 '항미원조(抗美援朝)', 진압반혁명, 등을 고취하는 프로그램을 계속방송 했으며 라디오와 방송스피커를 통한 프로그램 청취자는 매번 수십만명에 달했다. 자기의 힘으로 프로그램양식을 더 풍부하게 하는 것 뿐만 아니라 방송의 질을 더 향상 시키기 위해 대규모 대표단을 소련으로 보내 프로그램의 제작편성을 배우게 했다. 이 유학은 중국방송기술 향상에 큰 도움이 되었지만, 제도부터 실무까지 소련식으로 배웠다는 것은 지방마다의 특성이 다양한 중국의 실정과 맞지 않았으며 방송을 단조화, 경직화 시켰다.


(2) 방송발전 모델의 선정
1952년 12월 중앙 방송관리국은 제1차 전국방송실무회의(全國廣播工作會議)를 가졌는데 이 회의에서 과거 3년의 방송업무를 평가하면서 대규모 경제건설을 위한 앞으로의 방송 계획을 위한 중요한 결정을 발표하였다. 이 회의에서 내린 결정은 중국의 제1차 5개년 계획 기간중의 방송에 중요한 영향을 끼쳤다. 즉 이 회의에서의 정책결정은 경험이나 기술, 경비 모두가 부족한 당시의 어려운 방송환경 하에서 정책은 지방보다 중앙의 방송을 우선하고, 국제방송보다 국내방송을 우선하는 중앙 방송국을 집중적으로 지원하는 발전모델이었는데 이 같은 결정은 그후 몇 년 동안 중국 방송발전의 준거가 되었다. 이 정책에 따라서 지방의 방송국에서 일부 기술, 선전, 관리부문의 요원들을 선발하여 중앙급의 방송국의 건설사업에 참가토록 하였다. 중앙급방송국을 집중적으로 발전시키는 정책의 결과 1956년 말까지 전국 방송국의 총송신력이 1952년보다 4배 가량 증가하였으며 중앙 방송국의 총송신력도 1952년의 290㎾에서 1,935㎾로 높여 5.66배의 성장을 보였다.


(4) 특수방송

중국의 긴 역사의 발전과정에서 여러 민족의 거주양식을 가리켜 '다짜쥐, 샤오쥐쥐'(大雜居, 小聚居)라고 하고 있는데 이 특유의 생활양식을 갖춘 각 민족이 모여서 사는 지방에 이들 소수민족을 위한 방송국을 설립할 필요가 있을 뿐 아니라 전국 각 지방에 산재하는 자치적으로 사는 소수민족을 위한 전문방송을 설치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지방의 방송과 중앙의 방송에 다 같이 소수민족을 대상으로하는 방송을 동시에 진행하는 것은 중국의 현실과 환경에서 매우 절실한 것이다. 그렇지만 건국 초기에 자금과 시설이 부족한 어려운 상황하에서는 지방, 중앙이 동시적으로 소수민족 방송을 하는 것은 매우 어렵기 때문에 소수민족 방송의 임무는 자연적으로 중앙의 중앙 방송국이 우선 전담하게 되었다.

1950년 5월에 중앙 방송국이 티벳(西藏)어 방송을 시작하였다. 이것이 중국의 첫 번째 소수민족 방송인 셈이다. 당시 티벳은 아직 '해방'되지 않았던 시기이므로 티벳어 방송의 개시는 대 티벳 인민의 항쟁을 위한 선전의 중요한 의미를 지녔다.

그 다음으로 중앙방송국은 몽고어 방송을 시작했으며 이어서 계속 조선어와 위구르어등 소수 민족 방송을 시작했다. 이리하여 1950년에서 1956년에 이르는 동안 중국의 방송은 국가의 통일을 공고히 하는 당시 중국방송의 최고 임무에서 소수민족을 위한 각지의 소수민족 방송 프로그램 편성도 정책을 전달, 선전하는 뉴스 프로그램을 위주로 방송했다.

중국에는 연변 인민 방송국 외에 흑룡강성의 조선어 방송인 흑룡강 인민 방송, 뻬이진 중앙 인민 방송, 민족부의 조선어 방송, 뻬이징 국제방송의 조선어 방송등 4개의 조선어 라디오 방송이 있다.

중국의 대대만 방송은 일찍 시작되었다. 1949연 8월에 후인 뚱 방송국은 대만에 대만어로 방송한 데서부터 시작되었다. 1954연 후아뚱 방송국이 폐쇄됨에 따라 중앙방송국의 소관으로 넘어갔으며 선전용의 뉴스프로그램이 위주였다.


2) 비약기 (1957∼1966년)

1957연부터 문화 대혁명이 일어난 1966년 사이의 비약기 10년 동안은 중국의 방송이 질과 양에서 장족의 발전을 보인 시기이다. 라디오는 계속적으로 확장되었으며 1958연 5월 1일에 텔레비젼 방송이 시작되었다.


(1) 방송 방침의 전환
건국 초기에 있었던 「선 중앙, 후 지방」식의 발전 정책은 비약기에 들어서서 정치와 사회가 안정됨에 따라 중앙 방송국과 지방 방송국을 동시적으로 발전시키는 새로운 정책으로 바뀌게 되었다. 1957년 10월에 중공당중앙은 회의를 열고 라디오 방송의 중앙 및 지방 동시 발전이라는 새로운 당의 정책을 내리면서 지방방송국에 대한 통제를 강화했다.

중앙과 지방 동시 발전의 방침에 따라 지방 방송국 증설과 발전의 속도가 빨라졌다. 중소도시, 광산지구, 소수민족 자치구에도 30여개의 지방방송국이 신설되었다.

1958연 중국정부가 늘어나는 방송국에 대비하여 방송시설의 확충, 인재의 육성, 방송관장기구의 개편, 재정의 지원등에 대해서도 정책적 노력을 하였다. 1958년에는 중앙방송센터가 준공되었으며 1959년에는 방송인재를 육성하기위해 뻬이징 방송대학을 설립했다.

그러나 지방방송국의 설치는 정치와 경제의 발전과 밀접한 관계를 갖지 않을 수 없다. 1960연대 초기에 들어서면서 정치의 극좌 노선이 채택되어 일어난 정치의 불안정 및 대약진 경제 발전운동의 실패로 인해 지방 방송국의 수는 84개로 줄어 들었다. 그후 1966연 문화대혁명의 발생으로 방송은 수난기를 맞아야 했다.

문화대혁명의 발생과 함께 평등적인 중앙방송과 지방방송의 모습이 사라지고 또 다시 중앙집권식의 수직형 방송 체계구조가 재현되었다.


(2) 텔레비젼 방송의 등장
중국은 1953년 텔레비젼 기술을 배우기 위해 인원을 외국에 파견하고 뻬이징에 텔레비젼 방송국을 신설하는 계획을 수립하였으며 권력층의 적극적인 관심과 지원하에 1958연 5월 1일 저녁 7시에 뻬이징 텔레비젼 방송국이 개국되었다. 뻬이징 텔레비젼 방송국은 그후 1978년에 중앙 텔레비젼 방송국으로 이름을 바꿔 중국 각지역의 텔레비젼 방송국들에 프로그램을 공급하고 제작을 지도하는 중심 방송국의 역할을 담당하는 사실상의 국영 텔레비젼 방송국이다.

뻬이징에 텔레비젼 방송국을 개국한데 이어 1958연 10월에 상해에 텔레비젼 방송국을 개국하고 12월에 하얼빈에도 개국하였다. 그 후로 각지방에 텔레비젼 방송국이 연달아 신설되었다. 중앙 방송 관리국은 텔레비젼 프로그램의 제작 방침을 내렸으며 초기의 프로그램은 대체로 뉴스, 교육, 문예등의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뉴스 프로그램의 비중이 제일 높았다.

1960연 3월에 텔레비젼의 사회 교육 기능을 장화하기 위해 뻬이징에 방송통신대학을 정식으로 시작했다. 이어서 상해, 하얼빈 등 대도시에도 연달아 텔레비젼 방송통신대학이 신설됐다.


(3) 방송의 수난
중국의 대약진 운동은 방송에도 영향을 미쳐 크게 발전하였다. 1961년까지 전국의 라디오 방송국이 135개에 달해 1956연의 58개 보다 1.32배로 늘어났고 텔레비젼 방송국도 20개, 유선방송국이 2,078개가 되며 방송스피커도 581.1만개에 달해 1956연보다 10.46배로 증가했다. 방송의 긴축 정책의 실행에 따라 이미 실험단계에 들어가 있던 컬러텔레비젼도 중단되었다.

그러나 국제 방송은 오히려 계속 확장되고 있었다. 1964년 이후 경제상황이 호전되면서 중국정부는 방송의 긴축정책을 다시 풀고 방송에 대해 투자하기 시작했다.


3) 암흑기 (1967∼1977년)


1965년과 1966년의 상반기는 중국의 경제가 현저하게 호전됨에 따라 대약진 경제운동 실패의 늪에서 벗어나 일시적인 호황을 누렸다. 그런데 1966년 중반부터 발발한, 중국 전국에 영향을 미친, 중국 지도층의 권력쟁탈에 의해 일어난 문화 대혁명으로 인해 방송은 길고 긴 10년 동안의 암흑기에 빠지게 되었다.

1966년 5월 10일부터 13일까지 중앙 라디오 방송국은 3차에 걸쳐 라디오 방송을 통해 사인방의 일원인 야오홍원(姚洪文)의 '評<三家村>'이라는 정치논평을 방송하였으며, 이로 중국에 심원한 영향을 끼치는 정치구조와 사회질서를 변화시킨 정치운동인 문화 대혁명이 시작되었다. 이 문화 대혁명의 시작과 함께 전 극좌경의 정치세력에 의해 지배되었다. 중국의 정통문화, 국민경제, 사회질서 등 모든 분야에 일련의 좌경 대중운동(mass movement)에 의해 심한 타격을 받고 황폐화되고 모든 것이 정지된 암흑시기의 계속이었다. 전통적으로 당의 목소리 역할을 담당하는 방송매체는 문화혁명의 와중에서 오로지 사인방 정권의 목소리, 대변자로 전략되었다.

문화 대혁명의 영향으로 방송의 인민을 위한 사회적인 기능은 거의 상실되고 단순한 사인방의 정치선전의 도구로 전락되었다. 강력한 정치세력의 개입으로 인해 방송 프로그램의 내용은 학습-비판-생산의 3가지 방송 보도원칙을 굳게 지켜야 했고 심한 개념화, 공식화 및 구호화의 형식주의에 빠지게 되었다.

모든 교육과 오락 프로그램은 '봉건주의, 자본주의, 수정주의'(封, 資, 修)의 활동이라 하여 절대 금지되었다. 방송국은 거의 날마다 반복적으로 정치 선전 프로그램만 방송하고 문예 프로그램이라야 몇 곡의 문화 대혁명을 찬양하는 노래와 8개의 무산계급 혁명을 선전하는 희극, 그리고 3편의 정치선전용 영화를 방송하는 정도이다. 그 외의 내용의 방송은 거의 진공 상태에 처하고 있었다. 이에 따라 방송의 사회적인 역할과 기능은 거의 사라졌고 단지 '무산계급의 전반적인 정치권력을 장악하는 도구'(無産階級全面專政的工具)로서의 방송으로 돼 버렸다.

문화 대혁명의 10년동안 방송은 많은 수난을 당했지만 라디오 방송의 출력은 오히려 95%나 증가하였다. 이것은 사인방의 정치지도 세력이 자신의 이념과 추진하고 싶은 정책을 널리 중국 국민에게 전달하기 위해 출력을 높인데서 일어난 왜곡된 현상이었다.

국제 방송, 유선 방송, 방송 스피커 등도 함께 증가했다. 원래 스피커는 전국 인민을 정부 그리고 당과 긴밀하게 연결하기 위한 목적에서 설치되었다. 그러나 사인방은 스피커 방송을 그들의 정치 선전을 위해 사용했다.

방송에 대한 사인방 세력의 엄격한 통제는 1967년의 고비를 넘어서 1968년 이후 약간 완화되었다. 이 해부터 중국의 텔레비젼 방송국이 다시 원상태로 복귀하였다. 원래 있던 방송국뿐만 아니라 지방과 소수민족 자치구의 방송국도 새로 신설되었다. 1971년까지 중국에 32개의 텔레비젼 방송국이 있었으며 방송범위 역시 대도시 외에 많은 산간벽지에서도 시청할 수 있었다.

1970년 말에 중국 최초의 컬러방송은 뻬이징에서 시작되었다. 이듬해에 상해, 티엔진, 꾸앙저우 등 대도시도 컬러방송에 들어갔다. 그러나 이들 컬러방송은 아직 실험 단계에 있었으며 정식 컬러방송의 개시는 중앙 텔레비젼방송국에 의해 1973년 10월 1일 시작되었다.


4) 개혁기와 뉴미디어 (1977∼현재)

1976년 마오쩌둥(毛澤東)의 사망과 함께 사인방도 실각하여 중국대륙을 10년동안 뒤덮었던 문화 대혁명도 그막을 내리고 중국은 이성을 되찾았다. 중국방송도 양적으로나 질적으로 발전된 모습으로 나타났다.
중국에서는 매체의 역할을 논의할 때 당성과 인민성을 동등하게 강조해야 한다고 한다. 즉 매체는 언제나 당의 지시에 복종하면서도 또한 인민의 입장에서서 프로그램을 만들어야 한다는 뜻이다. 그러나 공산주의의 현실은 매체의 당성이 인민성을 능가해온 것이 중국방송의 일관된 모습이다.

1980년대 시작된 신문개혁운동은 매체의 인민성을 당성보다 더 중요시한다는 입장에서 발생한 운동이다. 이 신문개혁운동은 특히 신문 자유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정부, 학계, 실무종사자들에게 많은 논쟁을 불러 일으키고 있다.


(1) 방송발전 정책의 제정

중국공산등은 1980년 전국 방송 실무회의를 열고 방송운영활동, 업무를 시작했다. 이 실무회의에서는 방송의 새로운 선전방침, 임무 그리고 목표를 규정하였다.

1982년 제5차 인민대회의 5번째회의에서 새로운 헌법이 통과되었는데 새로운 헌법제22조에 의하면 "국가는 국민과 사회주의를 위해 봉사하는 문화예술사업과 신문방송을 발전시켜야 한다"고 규정 되었다.

당시 국무총리인 짜오쯔양은 제6차 5개년 계획안에 "5년 안에 뻬이징에 중앙컬러텔레비젼센터를 신설하며 각 지방과 소수민족 자치구에도 텔레비젼센터를 설립할 것"이라며 컬러텔레비젼을 5년계획의 일부로서 구체적으로 시책을 밝혔다.

이처럼 정부가 방송에 대해 적극적인 지지를 보이는 것과 때를 같이 하여 1982년 5월에 제5차 인민대표대회 제22차 회의에서는 방송의 실제업무를 관장해온 중앙 방송관리국(中央廣播事業局)을 없애고 새로 방송부(廣播電視部)를 설립할 것을 결정, 이를 공포하였다. 또 1983년 중국 공산당은 방송요지(關于廣播電視的匯報提綱)라는 중요한 정책을 밝히고 방송의 새로운 역할과 기능을 공포하였다. 이 요지에 따르면 "방송은 전당, 전군과 전국민에게 사회주의 물질문명과 정신문명의 건설을 고취시킬 가장 중요한 현대적 수단이다. 그리고 당과 정부를 국민과 연결시키는 가장 효과적인 도구이다."고 하여 방송이 담당하는 책임과 역할을 새롭게 규정하였다. 동시에 "국내외 현실상황은 시급하게 방송의 발전과 방송 질의 향상을 요구한다"고 새 시대의 방송개혁과 발전을 명확히 지적하였다.

이들 중요한 정부의 지시와 결정은 향후 중국 방송의 신속한 발전에 결정적인 영향력을 주었다.


(2) 전국적인 방송망의 완성

10년동안 침체에 빠졌던 중국의 방송은 80년대 초반부터 발전의 변화가 빨라지기 시작했다. 전국 각지에 방송국을 신축할 뿐 아니라 전국적인 방송망이 구축되고 확대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중앙방송에서 보다 지방방송에서 더욱 나타나 방송망의 구축에 대한 열의도 지방방송이 더 했다. 각 지방은 지방의 재력과 현실에 맞는 방송전용의 마이크로웨이브 전송시설을 만들고 송신력이 작은 방송중계소와 방송국을 신설하였다. 1964년 뻬이징-티엔진사이에 마이크로웨이브 전송망이 이미 설치되었다. 그후에 방송망 구축은 계속 확장되어 1980연대 초반에 뻬이징의 중앙 방송국의 컬러텔레비젼 방송은 티벳, 신강과 대만을 제외하고 전국 각 지방의 주요 도시에 연결되어 전국적으로 시청이 가능하게 되었다. 또한 중앙의 방송국으로부터 지방으로 일방적인 전송뿐만 아니라 지방의 우수한 프로그램도 이 마이크로웨이브망을 통해 뻬이징의 중앙 방송국으로 전달되어 다시 전국으로 방송될 수 있게 되었다. 1984년말까지 전국에 성(省)이하의 행정구역을 위행 설치한 방송전용의 마이크로웨이브 전송로는 18,485㎞에 달하고 전국에 산재한 소송신력 텔레비젼 방송중계국도 8,953개로 급속히 증가하였다. 신강과 티벳 등 벽지에도 중계소를 만들고 녹화방송의 형식으로 벽지의 인민들로 하여금 방송문화의 혜택을 받을 수 있게 하였다. 1984년 4월 중국 최초의 통신위성인 츠앙츠엉(長城)을 성공적으로 발사함으로써 신강과 티벳 등 벽지 방송의 난시청 현상을 많이 완화하게 했다.

이같이 무선방송망이 신속하게 발전하였지만 유선방송도 이와 함께 급속히 발전하였다. 중국의 라디오 유선방송은 일찍부터 국가에 의해 적극적으로 구축되었다. 중국 텔레비젼의 유선방송도 1964년에 이미 개발되었고, 개발되자마자 뻬이징에서 제일 역사가 길고 오래된 호텔인 北京飯店에서 유선방송국이 실험적으로 만들어졌다. 그러나 문화 대혁명의 발생으로 텔레비젼 유선 방송국은 1976년 4월에야 정식으로 등장하였다. 1976년 4월에 뻬이징의 똥황홍(東方紅) 정유소에서 중국 최초의 유선 방송국을 설립하였다. 그후 유선방송의 발전이 더욱 빨라졌다. 1980년 이후 유선방송은 뻬이징에서부터 전국의 대, 중형도시 및 농촌으로 급속히 확산되었다. 1984년에 중국의 유선방송 체계는 이미 300여 개에 달했고 중국의 방송망에 중요한 일환을 구성하였다.


(3) 프로그램내용의 다양화

문화 대혁명이 끝난 후, 중앙텔레비젼방송국(中央電視臺)은 10년 만에 처음으로 극영화(洪湖赤衛隊>를 방송하였다. 이때부터 과거 문혁기간에 절대금지된 극영화, 전통희극과 드라마 등 프로그램이 다시 방송에 나타났다. 각종의 심층보도, 드라마, 새로 창작한 가요, 무용, 퀴즈 그리고 전통희극 등 다양한 프로그램은 다시 전파를 타고 중국 국민에게 전송되었다. 뿐만 아니라 1981년 7월에 상하이 텔레비젼 방송국에서는 일본의 드라마를 방송하였고, 이때부터 외국 드라마도 중국의 방송에 등장하기 시작했다.

문화 대혁명 이후의 방송편성을 살펴보면 뉴스 프로그램의 변화가 제일 많았다. 양적 변화를 볼 때 매일 보도되는 뉴스의 양과 시간이 크게 증가하였다. 그리고 문혁기간의 방송보도는 뉴스를 옮겨 놓는 것에 불과했는데 문화혁명 이후의 보도는 이같은 그릇된 관행에서 벗어나 방송국이 자체적으로 뉴스를 취재보도하였다. 뉴스 프로그램의 방송 빈도도 잦아졌다. 특히 지방 텔레비젼 방송국의 경우 과거에는 매주에 2번이나 3번 정도만 뉴스를 하였지만 1984년 이후에는 거의 매일 뉴스편성을 하였으며 적어도 한번 이상 뉴스를 방송했다. 과거의 뉴스 프로그램에서는 시이성이 완전히 무시되었는데 이제는 이같은 모습도 사라지기 시작했다. 당일에 일어난 뉴스가 전체 뉴스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점차 커져 갔다. 그리고 긍정적인 뉴스만 보도하고 부정적인 뉴스를 피한다는 지난 시대의 보도원칙도 점점 바꾸어지고 있다. 뉴스의 보도면에서도 정치에만 집중하는 과거의 습관에서 벗어나, 인간흥미, 오락, 과학 등에 관한 뉴스도 많이 보도 됐다. 뉴스보도의 진행방식도 관거와 같은 '圖片報導'의 양식을 없애고 현지취재보도, 녹화보도, 현장중계보도 등 보다 현대적인 보도의 양식을 도입했다.

방송에서 또하나의 커다란 변화는 텔레비젼 드라마가 다량으로 출현했다는 점이다. 1958년 중국에서 최초의 텔레비젼 드라마가 방영된후 1980년에 전국적으로 제작된 드라마의 수는 103편이었고 1982년에는 200편을 넘었다. 현재 중국시청자에게 드라마는 가장 인기있는 프로그램이다.

방송에 광고의 등장도 현대 중국방송의 중요한 변화였다. 1979연 1월 28일 상하이 텔레비젼 방송국이 중국에서는 최초로 텔레비젼에 광고를 방송했다. 이때부터 광고가 방송에서 차지하는 양이 점점 많아졌다. 중앙텔레비젼의 광고 방송은 자본주의 국가의 상업텔레비젼방송과 다름이 없다.


(4) 언론개혁(신문개혁)의 논쟁

1980년에 들어와서, 중국의 정부와 매체에서 발생한 가장 큰 이슈는 바로 언론자유에 대한 논쟁이었다. 중국 공산당의 매체에 대한 일관적인 입장은 바로 매체가 정부와 당의 목소리(喉舌)라는 것이다. 따라서 매체의 두 가지 제일 중요한 속성은 바로 당에 복종하는 당성과 인민을 위해 봉사하는 인민성이다. 실제로 중국에서 당성이 언제나 인민성보다 더 중요시 여겨진다는 사실은 주지한 바와 같다.

사인방의 극좌 세력이 실각한 후 장기간 침체되었던 중국의 언론은 해방기를 맞이하였고 다시 활기를 되찾았다. 1980연대 초반에 언론계에 이미 언론개혁(新聞改革)을 주장하는 사람이 나타났다. 이 언론개혁 운동의 장본인이 바로 당시의 《인민일보》의 주필었던 후지웨이(胡績偉)이다. 후지웨이가 1979년에 《인민일보》의 사설에 처음으로 언론의 인민성이 당성보다 더 중요하다는 주장을 폈다. 그후 수년 동안 비록 논란이 많았지만 당성 우선의 원칙을 깨뜨리지 못했다. 1990연 6월 천안문사건이 발생했을 때, 중국의 언론은 이 기회를 이용해 과거 당성 우선의 관습을 무시하고 학생 반정부 집단에 관한 뉴스를 많이 보도했다.

이 기간 동안 중앙텔레비젼방송국은 항상 당과 일치한 노선을 걷는다는 입장을 바꾸고 중국 과학자인 옌진아치(嚴家其)를 비롯한 12명의 반정부집단 지도자들에 대한 인터뷰를 방송했다. 그리고 몇 명의 아나운서가 뉴스 프로그램을 진행할 때 검은 옷을 입고 침통한 어조로 프로그램을 진행해 그들의 천안문사건에 대한 슬픔을 간접적으로 표시했다. 한편 소수의 라디오 방송에서도 간접적인 풍자의 말투로 사건 당시 정부의 시민에 대한 진압을 보도했다. 이들 방송에서 일어난 새 바람은 중국 정부에 의해 많은 주목을 받게 되었다. 천안문사건 이후 정부는 언론계의 이단분자를 숙청하고 당시 언론개혁 운동의 지도자인 후지웨이도 몰아 냈다. 뿐만 아니라 방송 종사자들이 사상의 오염을 받지 못하게 하기 위해 종사자에 대한 사상교육을 강화할뿐만 아니라 뻬이징 방송대학(北京廣播電視學院)등 방송인재를 육성하는 학교에 대해서도 합숙훈련과 사상교육 등을 실시함으로써 학생들의 정치이념을 강화시켰다. 이러한 강력한 시책에 따라 비록 중국의 언론개혁운동은 잠시 주춤거렸지만 중국의 방송발전에 커다란 변화를 가져왔다는 사실은 부인할 수 없다. 방송양식이 날이 갈수록 다양화되는 추세와 함께 언론 자유에 대한 논쟁은 조만간 다시 언론 종사자에 의해 거론될 것이다.


(5) 뉴미디어 방송

1980년 CCTV는 지역방송사와 공동으로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뉴스 송수신실험을 하였다. 중국의 최초 정지궤도 실험통신위성은 1984년 4월 8일에 발사되었고 CCTV와 중앙인민방송사는 이 위성을 이용하여 방송 프로그램을 각지에 중계하는 실험을 하였다. 1985년 광섬유통신망이 실험적으로 설치되어 중국의 유선방송이 시작될 토대가 마련되었다. 1985년에는 북부 중국의 산업도시인 다칭, 상해의 진산 화학공단 및 북경의 동광 화학공장에 유선방송이 설치되었다.


Ⅲ. 맺는 말

중국의 방송은 역사와 문명의 흐름에 의해 자생되었다기보다는 외국인에 의해 일방적으로 도입된 것이다. 국민당 정부시기나 공산당 정부시기 모두 선전도구의 역할을 담당해 왔다.

국민당 정부시기에는 방송이 비록 양적으로 많은 발전을 했지만 '선전의 至高無上의 무기'로만 여겨졌으므로 방송의 대중문화적 역할이나 제4부의 언론의 역할은 완전히 무시되었다. 공산당 정부가 정권을 장악한 후 처음 17년 동안에는 방송이 비록 선전의 도구로 사용되었지만 방송의 사회교육의 기능을 중요시 했다. 그러나 10년 동안의 문화 대혁명을 겪으면서 중국의 방송은 과거에도 보지 못했던 침체의 늪에 빠졌다.

문화 대혁명의 종결과 함께 중국의 정권은 극좌 세력으로부터 실용주의자의 손으로 옮겨졌다. '4개의 현대화'정치노선이 발표된 후에 중국 방송의 모습도 급격히 변화하였다.

80년대 중반이후 중국 정부는 지방 방송국의 설립을 장려함에 따라 지방방송국이 크게 늘어났다. 그리고 광고를 확보하려는 방송국간의 경쟁은 프로그램의 질을 떨어뜨렸다.

90년대에 들어와서 중국의 모든 분야는 정치권의 세대교체 때문에 또 다시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였다. 비록 천안문사건 때문에 중국의 방송은 또 한번의 침체에 빠졌지만 실용주의적 정치 세력들의 꾸준한 등장으로 중국 방송의 앞길은 낙관적이라고 말할 수 있다.

중국방송부장은 제11차 전국방송실무자 대회에서 "앞으로 금세기가 끝나기전에 중국은 현대적 라디오와 텔레비젼 네트워크를 갖게 될 것"이라며 "이 방송체제는 중국의 경제 및 사회적 발전에 도움을 주고 또한 중국의 대외적 위상에도 걸맞는 것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국제적으로 중국의 목소리가 들릴수 있도록 금세기가 끝날때까지 방송의 발전을 단계적으로 이룩한다는 계획이다.


< 방송연대기 >

1922. 가을 미국인 E.G.Osbom에 의해 만든 중국 최초의 라디오 방송국이 上海에 개국.

1925. 6 중국인에 의해 설립된 최초의 라디오 방송국인 彌浜廣播電臺가 개국

1927. 3 중국인이 만든 최초의 상업 방송국인 新新廣播電臺가 上海에 개국.

1928. 8 국민당의 당영방송국인 中央廣播電臺가 南京에서 방송 개시.

1932 국민당 정부는 <中華民國電信法規大綱>을 제정, 중국의 방송을 관리, 규제한다.

1936. 2 국민당 정부가 중앙급의 방송지도기구인 <中央廣播事業委員會>를 설립.

12. 12. 서안사변, 張學良이 蔣介石을 감금

1937. 7 중일전쟁이 발발

11 中央廣播電臺 武韓市로 철수

1938. 3 中央廣播電臺 武韓市로 이전

1939. 2 국민당 정부의 국제방송인 VOICE OF CHINA(VOA) 방송 시작 공산당의 延安新華電臺가 방송 시작

1941. 12 상해에 있는 민영 방송국이 모두 일본인에 의해 접수, 방송의 <孤島時期>가 끝남

1943. 3 延安新華電臺가 방송 중단

1945. 8 중일전쟁이 끝남

延安新華電臺가 방송을 다시 시작

1946. 5 국민당의 中央廣播電臺가 南京으로 복귀

1947. 9 中央廣播電臺가 陝北新華電臺의 이름으로 변경, 영어로 대외방송도 시작

1948. 11 중국 공산당이 <對新解放城市原有之廣播臺及其人員的政策協定>을 개정

1949. 3 陝北新華電臺가 北京으로 이전, 北平新華電臺로 이름을 바꿈

6 중국 공산당이 방송관장기구인 中央廣播事業處를 설립

8 華東人民廣播電臺가 대대만 방송을 개시

10.1 중화인민공화국이 정식으로 탄생

12 中央廣播事業處를 없애고, 새로운 방송관장기관인 新聞總暑를 설립

1950. 4 중공 당중앙 <關于建立廣播收音綱的決定>을 공포 北京新華電臺의 국제방송부분을

RADIO BEIJING의 영어 이름을 사용

5 첫 번째 소수민족방송인 티벳어(西藏語)방송을 시작

1951. 5 <全國聯播>프로그램을 시작

1952. 4 吉林省 九臺縣에 최초의 농촌 유선방송이 방송개시

1953. 1 제1차 5개년 경제계획 시작

1957. 2 毛澤東이 <如何正擴處理人民內部矛盾問題>를 발표, 반우파운동을 전개

10 중공 당 중앙이 "中央爲主, 地方爲副"의 발송발전모델을 공포

1958. 5 최초의 텔레비젼 방송국인 北京電視臺가 개국

10 上海電視臺 개국

1960. 3 중국 최초의 방송통신대학 北京電視大學을 정식으로 시작

1961. 긴측정책에 따라 방송국도 큰 불황에 당면

1966. 5 문화대혁명 개시

1973. 10 中央電視臺의 컬러방송이 시작

1976. 4 北京 東方紅정유소에서 중국 최초의 유선 방송국을 설립

9. 9 毛澤東 사망

10. 6 四人幇 실각

1978. 5 北京電視臺가 中央電視臺로 명칭 변경

1979. 1. 28 上海電視臺가 중국 텔레비젼방송 최초의 상업광고를 방송

1981. 7 上海電視臺에 일본 드라마를 방송

1982. 5 中央廣播事業局을 철폐, 廣播電視部를 신설

1983. 중공 당중앙이 37호 문건을 공포, <四級辨廣播, 四級辨電視, 四級混

合覆蓋>의 방송체제를 규제

1984. 4 최초의 통신위성 長城을 발사, 전국 방송망을 거의 구축

1987. 10∼11 중국 공산당 13차 인민대표대회를 거행, 개혁, 개방의 노선을 확립

1990. 6 천안문사건, 趙紫陽 실각

 


참 고 문 헌

[1] 강현두 외, 세계방송의 역사, 나남출판, 1992.

[2] 양기석 역. 필립로젠저, 세계의 방송제도, 나남출판, 1999.

[3] 當代中國的廣播電視編輯部, 中國廣播電視大事記, 北京:北京廣播學院出版社, 1987.

[4] 北京廣播學院新聞系 , 實用廣播電視新聞學(上), 北京:北京廣播學院出版社, 1988.

[5] 吳疏漂編, 中廣六十年大事記, (臺北:廣播月刊社, 1988) 溫世光, 中國廣播電視發展 史, 臺北, 三民書局, 1983.

[6] 中國國際廣播電臺臺史編輯組, 中國國際廣播史簡編, 北京:中國國際廣播出版社, 1987.

[7] 中國社會科學院新聞硏究所, 中國新聞學會聯合會編, 中國新聞年鑑(1990), 北京:中 國社會科學出版社, 1991.

[8] 趙玉明, 中國現代廣播簡史(1923∼1948), 北京:中國廣播電視出版社, 1987.

[9] 許煥隆, 中國現代新聞史簡編, 中國河南省:河南人民出版社, 19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