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로발달에 관해서 가장 흥미를 끄는 것은 "왜 어떤 사람은 어떤 특정한 진로를 갖게 되는가?"하는 의문이다.
이러한 의문에 대한 해답을 얻기 위해서 많은 사람들이 노력을 해 왔는데, 이러한 노력이 체계화된 것이
진로발달이론이라고 할 수 있다.
진로발달이론의 요건을 3가지로 요약하면
(1) 진로선택에 영향을 주는 요소를 잘 수용할 수 있는 이론
(2) 진로선택을 명료화 할 수 있는 연구를 자극하는 이론
(3) 경험이 부족한 상태에 있는 내담자가 잘 실현할 수 있도록 현실적으로 잘 안내될 수 있는 이론이랄 수 있다.
진로발달이론은 학자에 따라서 다양하게 분류되고 있으나, 크게 다음의 두가지 측면에서 설명될 수가 있다(Pietrofesa, etal., 1980, 재인용).
첫째는 진로선택의 과정을 하나의 사건으로 성격화하려는 이론이 하나이고,
둘째는 진로선택을 개인의 전생애를 통해서 발생하는 사건의 장기적인 연속으로 성격화하려는 이론이 다른 하나이다.
첫 번째 이론에는 특성요소이론, Roe와 Holland 등의 욕구이론이 속하는데, 이들은 개인의 욕구와 흥미를 진로선택의 기초로 삼고 있다.
두 번째 이론에는 Ginzberg, Super, Tiedemen과 O'Hara 및 Tuckman 등의 발달이론과
의사결정이론, 정신분석이론, 사회학습이론 등이 속하는데, 이들은 진로에 관한 자아개념과 발달적 측면을 강조한다.
Herr 와 Cramer(1979)의 분류에 따르면 주요 이론은 다음과 같다.
① 특성요인이론(trait-factor theory) : 개인의 특성과 특정한 직업이 필요로 하는 특성과의 관계에 초점을 두고 있는 이론.
② 의사결정이론(decision theory) : 가장 큰 보상을 받을 수 있는 직업을 선택하는 것에 초점을 두고 있는 이론.
③ 사회학적 이론(sociological theory) : 인종, 사회경제적 지위, 교육수준과 같은 사회적 요인이 직업선택에 미치는 영향에 초점을 두는 이론.
④ 심리학적 이론(psychological theory) : 동기, 욕구, 가치, 성격 등과 같은 개인의 심리요인이 직업선택에 미치는 영향에 초점을 두는 이론.
⑤ 발달적 이론(developmental emphases) : 개인의 각 발달단계에 있어서 직업 선택의 위치에 초점을 두는 이론.
1. Roe의 욕구이론
Anne Roe가 발전시킨 직업 선택 이론에 의하면 성격결정 요인이 직업 선택에 큰 영향을 미친다고 한다. 즉, 초기 아동기의 환경이 직업선정에 영향을 준다는 것이다.
Roe(1956)는 Maslow의 욕구위계이론을 기초로 해서 초기의 인생 경험과 진로선택의 관계에 관한 가설을 발전시켰다. 즉, 여러 가지 다른 직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은 제각기 명확하게 다른 성격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성격의 차이는 어려서 부모와 자녀간의 관계에 기인한다고 보는 것이다. 예컨대, 냉담한 가정분위기에서는 부모가 자녀를 거부 무시해서 회피하게 하고, 온정적인 분위기에서는 자녀를 일상적으로 대하여 수용하게 된다.
욕구이론은 특히 가정에서 부모가 자녀를 대하는 양상에 기초를 두고 있다. 수용이나 거부 또는 과잉보호나 과잉요구에 대한 아동의 감정이 인간지향적이거나 비인간지향적인 생활양식을 발전시키고 이는 결국 개인에게 특정한 직업을 선택하도록 하는 진로지향성을 형성하도록 한다. 예컨대, 애정과 보호, 적당한 요구로 아동을 대하는 가정분위기에서 성장한 아동은 인간지향적인 직업(예; 봉사, 사업, 일반문화, 예술, 연예 등)을 갖도록 하고, 반면에 거부와 무시 또는 일상적으로 아동을 대하는 가정분위기에서는 비인간지향적인 직업(예; 기술, 야외직업, 과학 등)을 갖도록 한다. 또한 과잉보호나 과잉요구가 제재로서 받아들여질 때에는 방어적 수단으로서 비인간적 직업을 택하기도 하고, 반대로 거부적인 가정분위기에서 자란 아동도 만족을 추구하고자 인간지향적이 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Roe의 욕구 이론보다 실제적인 진로지도에서 더 유용하게 사용되는 것은 Roe의 직업 분류에 관한 연구이다. Roe는 이 연구에서 직업군을 서비스직, 영업직, 조직, 산업기술직, 옥외활동직, 과학직, 일반 문화직, 예체능직의 8개군으로 나누고, 각 군을 다시 전문직 상급, 전문직 보통, 준전문직, 숙련직, 준숙련직, 비숙련의 6단계로 나누어
직업들을 분류한 직업분류표를 제시하였다. 이 직업분류표는 많은 직업들중에 자신의 관심분야와 능력 수준에 맞는 직업을 쉽게 찾아 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많은 진로 지도 프로그램에서 이용되고 있다.
2. Holland의 이론
이는 개인의 행동방식이나 인성유형이 직업선택과 발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고 보는 이론이다. 대부분의 사람들과 환경은 여섯 가지 유형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사람들은 그들의 기술과 능력을 행사하고 태도와 가치관을 표현하고 자신에게 합당한 역할을 담당할 수 있는 환경을 찾게 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개인의 행동은 자신의 성격과 자신이 속하는 환경특성의 상호작용에 의해서 결정되어진다고 본다.
Holland(1973)가 제시한 여섯 가지 유형(6 personality)은 다음과 같다.
① 현실적(realistic) : 사물이나 도구를 체계적으로 조종.
② 탐색적(investigative) : 현상의 관찰적, 상징적, 창의적 탐색.
③ 예술적(artistic) : 모호하고 자유롭고 비체계인 활동.
④ 사회적(social) : 다른 사람들을 훈련 계몽하거나 정보를 제공.
⑤ 기업적(enterprising) : 다른 사람들을 관리 조종.
⑥ 인습적(conventional) : 자료를 질서있게 다루는 활동.
Holland는 직업이 사회적 지위, 생활양식, 생활수준 등을 결정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생활양식이라는 것을 명백히 하고 있다. 개인의 행동은 개인특성과 환경특성의 상호작용에 의해서 결정되므로 직업의 만족, 안정성, 이동성 등은 개인의 성격과 직업적 환경이 일치하는 정도의 함수라고 한다. 개인과 환경의 일치된 상호작용은 안정된 직업선택, 직업성
취, 학업성취, 개인의 안정성 유지와 만족 등을 가져온다고 한다.
3. Super의 이론
Super(1953)의 진로발달이론은 가장 보편적인 이론중의 하나이다. 그의 접근방법은 직업생애단계, 직업성숙도, 자아개념의 직업 자아개념으로의 전환, 진로유형 등의 네 가지 요소에 초점을 두고 있다. 이 접근방법은 진로발달에 있어서 개인변인과 환경변인의 상호작용을 강조하는 통합적인 접근이다. 그에 의하면 개인은 부분적으로는 자신의 심리적·생리적 속성에 의해서 그리고 부분적으로는 의미 있는 타자를 포함하는 환경조건에 의해서 결정된 비율에 따른 전체발달의 한 측면으로서 직업적으로 발달하게 된다고 한다.
연속적인 직업성숙 수준을 획득하기 위해서는 구체적인 직업발달과업이 수행된다. 직업생애를 통한 이러한 발달은 비교적 질서정연하게 이루어지며, 충분한 자료가 있고 이러한 자료의 의미가 개인에게 알려지면 개인의 진로유형을 예측할 수가 있다.
Super는 1951년에 시작된 진로유형연구에서 다음과 같은 진로발달단계를 제시하고 있다.
① 성장기(growth stage : ∼14세) : 가정이나 학교에서 주요 인물과 동일시함으로써 자아개념이 발달함.
* 하위단계 : 환상기(4∼10세 : 욕구) → 흥미기(11∼12세 : 취향) → 능력기(13∼14세)
② 탐색기(exploration stage : 15∼24세) : 학교, 여가활동, 시간제 일 등을 통해서 자기검증, 역할수행, 직업적 탐색을 함.
* 하위단계 : 잠정기(14∼17세) → 전환기(18∼21세 : 취업준비) → 시행기(22∼24세)
③ 확립기(establishment stage : 24∼44세) : 자신에게 적합한 직업분야를 찾아서 그 분야에서 영구적인 위치를 확보하려고 노력함.
* 하위단계 : 시행기(25∼30세 : 한두번의 변화 시도) → 안정기(31∼44세 : 위치확립)
④ 유지기(maintenance stage : 45∼64세) : 직업세계에 확고한 위치가 확립되어 이를유지하기 위해 노력함.
⑤ 쇠퇴기(decline stage : 65세∼ ) : 심신 쇠퇴로 작업활동을 중단함.
Super는 자신의 이론을 분절된 이론(segmented theory)이라고 이야기했다. Super의 이론은 지나치게 자아개념 지향적이며 지적인 면을 강조하고 있고, 직업 선택보다 직업 발달 쪽을 강조했다는 비판을 받고 있으나 개인의 직업선호와 생애를 자아실현의 과정으로 본 점과 자아개념을 직업적 자아개념으로 전환시킨 점은 특징 있다 하겠다. 그러나 진로 성숙, 직업 발달단계 등의 이론은 급변하는 오늘날의 사회와는 거리감이 있다고 하겠다.
'무한경쟁 >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새로운 진로발달이론 (0) | 2010.08.09 |
---|---|
직업발달 상담이론 (0) | 2010.08.09 |
진로선택의 사회학습이론 (0) | 2010.08.09 |
욕구이론 (0) | 2010.08.09 |
직업적응 이론 (0) | 2010.08.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