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서
1. 의사결정의 개념과 중요성
2. 의사결정 모형의 의의
II. 쓰레기통 모형 이론(Garbage Can Model)
1. 쓰레기통 모형의 의의
2. 등장배경
3. 이론의 가정
a) 선호의 불확실성(Problematic preferences)
b) 불명확한 기술(Unclear technologies)
c) 일시적 참여자(Part-time participants)
4. 의사결정의 구성요소
a) 선택기회(Choice of opportunities)
b) 대안들(Solutions)
c) 문제들(Problems)
d) 결정자들(Participants)
5. 의사결정의 결과
III. 쓰레기통 모형 이론이 시사하는 점
IV. 이론의 공헌과 비판
1. 공헌
2. 비판
【본 문】
I. 서
1. 의사결정의 개념과 중요성
의사결정은 조직이 당면한 문제나 선택상황 하에서 가능한 대안을 선택∙선별하는 과정으로 조직∙집단의 환경 적응 및 유지∙성장에 기여한다.
특히 최근 경영환경의 불확실성 증대로 인해 의사결정의 역할이 더욱 더 중요해졌다고 하겠다.
2. 의사결정 모형의 의의
의사결정 모형은 구체적으로 합리적∙최선의 선택을 위한 의사결정 과정을 모형화 한 것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하에서는 그 중 하나인 쓰레기통 모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II. 쓰레기통 모형 이론(Garbage Can Model)
1. 쓰레기통 모형의 의의
쓰레기통 모형은 조직이 겪는 혼돈상태에서 『의사결정은 단계적이 아닌 중구난방 형태로 결정된다』는 이론으로, ‘71년 올슨(J. Olsen)이 주장한 이론이다.
2. 등장배경
제한된 합리성을 가정한 『사이몬의 바늘이론』을 비판하면서, 실제 조직이 겪는 『무정부 상태(Organizational anarchy)에서 인간은 실제 문제조차 파악할 수 없다』 보았다.
3. 이론의 가정
a) 선호의 불확실성(Problematic preferences)
개인∙조직의 목표는 모두 다르고, 또한 개인의 선호도도 달라 우선 순위가 정해지지 않은 대안이 널려있다.
b) 불명확한 기술(Unclear technologies)
목표달성을 위한 접근은 물론, 대안 정보의 수집도 알 수가 없다.
c) 일시적 참여자(Part-time participants)
의사결정자의 교체∙이동이 심하고, 문제를 차분히 해결하기에는 다들 바쁘다.
4. 의사결정의 구성요소
a) 선택기회(Choice of opportunities)
조직은 항상 무엇이든 간에 선택∙결정이 이루어지며 항상 문제가 출현하기를 기다리고 있다.
b) 대안들(Solutions)
특정 문제 해결을 위한 것은 아니나 조직 내에는 무수한 대안들이 있다.
c) 문제들(Problems)
없는 문제도 만들면 되는 방식으로 조직에는 이슈화할 문제가 산적해 있다.
d) 결정자들(Participants)
타인에게 무엇인가를 보여주고자 하는 결정 주체들은 항상 무엇인가를 결정할 준비가 되어 있으며, 그러한 결정도 실제로 적당히 하고 넘어가는 성향이 있다.
5. 의사결정의 결과
결국 조직 안의 수많은 대안∙문제∙결정의 순간들이 뒤엉켜 움직이다 어느 순간 의사결정자의 손에 닿으면 그 자리에서 결정이 일어나 비합리적이고 불필요한 행동이 수시 반복된다.
III. 쓰레기통 모형 이론이 시사하는 점
① 많은 의사결정이 정상적 과정이 아닌 운∙우연∙자의로 이루어진다.
② 어떠한 대안이 결정되어도 상관없으므로 의사결정자가 정치적 동기를 가지고 참가할 수 있다.
③ 급하지 않아도 이슈가 될만한 중요한 문제가 먼저 결정될 확률이 높다.
④ 문제마다 해결안을 찾는데 시간이 걸리므로 문제가 많으면 문제로 그냥 남는다.
IV. 이론의 공헌과 비판
1. 공헌
① 무정부 상태를 병리학 적 접근이 아닌 긍정적 분석으로 접근하였다.
② 현실의 경영 문제를 적절히 분석하였다.
2. 비판
① 특수한 경우를 일반화 시켰다는 비판을 받는다.
② 실질적 정책 연구에서는 적용되지 않는다.
③ 의사결정자의 의지 반영을 간과하였다.
'무한경쟁 > 방송통신정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뉴미디어 개발주의 정책 답습하고 있다 (0) | 2010.11.05 |
---|---|
쓰레기통 모형의 예 (0) | 2010.10.29 |
미디어법 통과1년 (0) | 2010.10.28 |
정책문제의 기본절차와 단계 (0) | 2010.10.18 |
방송법 개정과 구조개편 방향 (0) | 2010.10.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