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입체영상 시장 동향 해외 입체영상 시장 동향 - 2010년 전세계 3D스크린 1만개 돌파 : JP Morgan은 2010년 미국에 3D상영관이 7,000여개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 이는 미국전체 상영관수인 36,000개의 약 20%에 육박하는 수치임 - 헐리웃은 3D 영화가 대세 : 드림웍스의 모든 영화는 3D 겸용 영화로 제작될 것[제프리 카젠버그]이며, 3D영.. 무한경쟁/3D 산업 2010.05.23
3D시대가 열린다 3D(Three Dimensions)란 3차원의 의미로, 3D 입체영상은 왼쪽 눈과 오른쪽 눈에 서로 다른 영상을 제시해 사물의 깊이감을 느끼도록 하여 실제와 같은 생동감을 느끼게 할 수 있는 기술이다. 차세대 3D정보단말 기술의 총아로 불리는 3D입체영상 기술은 임장감(Presence), 실재감, 자연감, 선명성 등의 장점을 갖고.. 무한경쟁/3D 산업 2010.05.23
HD? 풀HD LCD? LED TV? HD? 풀HD LCD? LED? TV 사기 힘드네? 10여 년 전만 해도 TV를 살 때 그다지 고민할 사항이 많지 않았다. 그냥 화면 크기가 몇 인치인지, 혹은 어느 제조사인지만 알고 자신의 사정에 맞는 제품을 구입하면 그만이었다. 하지만 요즘은 그렇지 않다. 같은 제조사, 같은 크기의 TV라도 HD이니 풀HD이니, 혹은 LCD이니 .. 무한경쟁/3D 산업 2010.05.10
콘텐츠·미디어·3D산업 일자리 8만개 창출 콘텐츠·미디어·3D산업 일자리 8만개 창출 5대 유망서비스 분야 선정, 2015년 무안경 3DTV 시대 개막 청년층이 선호하고 미래의 성장가치가 큰 콘텐츠·미디어·3D 산업분야에서 2014년까지 약 8만개 일자리가 만들어진다. 정부는 콘텐츠와 미디어산업을 포함, 고용창출 여지가 많은 5대 유망서비스 분야.. 무한경쟁/3D 산업 2010.04.22
주정민 '3D 입체방송 산업 육성과 발전방안' ① 주정민 '3D 입체방송 산업 육성과 발전방안' 시간 : 34분 37초 주정민 전남대 신문방송학과 교수는 9일 '3D 입체방송 산업 육성과 발전방안'이라는 주제발표문을 발표했습니다. 주정민 교수는 "현재 3D 분야는 각국이 기술경쟁을 하고 있는 초기단계라는 점을 고려해 원천기술 확보를 위한 국가적 차원.. 무한경쟁/3D 산업 2010.04.22
3D산업 차세대 동력 육성 "3D산업 차세대 동력 육성" 스마트폰과 3DTV, 방송통신과 금융, 의료 등 이업종 산업간 융복합화를 계기로 올해 국내 IT시장이 새로운 변혁기를 맞을 전망이다. 방송통신위원회는 21일 서울 롯데호텔에서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 한국정보통신산업협회(KAIT),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등 산하기관이 마.. 무한경쟁/3D 산업 2010.04.22
3D 열풍 ’ 전 산업으로 확산 3D 입체영상의 대중화 시대가 성큼 눈앞에 다가 오면서 3D 산업도 급부상하고 있다. 미국의 제임스 카메론 감독이 만들어낸 실사와 애니메이션을 교묘히 결합한 입체영상 영화 <아바타>가 최근 거둬들이고 있는 엄청난 상업적 성공은 바야흐로 3D 입체영상 산업의 본격적 도래를 알리는 신호탄이 .. 무한경쟁/3D 산업 2010.04.22
3D산업 발전전략 “범 정부차원의 3D산업 발전전략 마련” - 2013년 본격적인 3D TV 방송시대 개막 - - 2015년까지 3D 무안경 TV 시대 실현 - - 이를 위해 2015년까지 민관 포함 총 8천억원을 투자할 계획 - □ 정부는 2010년 4월 8일(목) 오전 10시, 대통령 주재로 각 부처 장관 및 민간전문가 등이 참석한 가운데「제4차 국가고용전.. 무한경쟁/3D 산업 2010.04.22
3D산업은 `상상력` 경쟁이다 올 CES2010에서 한국 업체와 일본 업체들의 3DTV에 대한 치열한 경쟁과 3D영화 아바타로 인해 3D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그러나 3D영화나 TV는 전혀 새로운 개념이 아니고 1922년에 첫 3D영화 `Power of Love'가 제작되었으며, 1952년에는 첫 3D컬러영화인`봐나 악마'(Bwana Devil)가 제작되었다. 그 후 3D영화를 .. 무한경쟁/3D 산업 2010.04.22
입체 영상 촬영의 원리와 실무 입체 영상 촬영의 원리와 실무 - 입체원리와 입체 카메라 기술 사람의 안간 차이가 평균 6.5cm인데, 이로 인한 시차가 각기 다른 두개의 2차원 이미지를 뇌에 전달해 하나의 입체 이미지로 인식되도록 한다. 즉 입체 카메라의 원리는 두개의 촬영용 렌즈를 일정 간격 띄워놓고 같은 물체를 촬영해 하나의.. 무한경쟁/3D 산업 2010.04.22